뉴스
이슈&현장
[이슈&현장]실종된 서귀포시 자전거정책
서귀포시 자전거정책 손놨나
윤보석 기자 bsyun@hallailbo.co.kr
입력 : 2008. 06.23. 00:00:00
시·군 통합 이후 자전거 활성화시책 사실상 실종

전담부서 고사하고 전담인력 마저 없어


'자전거운행마을만들기' 등도 흐지부지

최근 국제유가 상승과 기후변화 대응방안의 하나로 자전거 이용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으나 서귀포시는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무관심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서귀포시는 특히 옛 남제주군이 추진했던 자전거운행마을만들기 사업을 이어받았으나 사후관리도 거의 하지 않는 등 사실상 자전거 활성화 정책을 외면하고 있다.

지난해 말까지 서귀포시의 자전거도로는 읍면지역 1백46㎞, 동지역 1백6㎞ 등 모두 41개 노선에 총연장 2백52㎞이다. 지난 1994년부터 지난해까지 이뤄진 것으로 총 2백49억여원이 투입됐다. 이 자전거도로는 대부분 도심보다 외곽지에 개설됐다. 서귀포시내 도심 한복판에서는 자전거도로를 찾아보기 힘들다. 도심 주민보다 하이킹 여행자들을 위해 자전거도로를 개설했다는 것이 서귀포시의 설명이다.

하지만 이 마저도 중간중간 끊기고 시설 기준에 미달하는 등 기형적으로 이뤄졌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보행자겸용도로에 버젓이 자전거전용도로 표지판을 설치하는가 하면 자전거도로가 갑자기 끊겨 하이킹 여행자들을 당황케 하고 있다. 심지어 자전거전용도로 표지판을 인도블럭 위에 세워놓은 경우도 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서귀포시는 자전거 관련 전담부서는 고사하고 전담 인력도 없다. 게다가 현재 정부지원으로 추진중인 자전거 도로 개설에 급급해 시설 개선은 엄두도 못내고 있다.

자전거도로 여건은 차치하고 서귀포시의 자전거 이용 활성화 시책은 아예 없는 실정이다. 특별자치도 통합이전인 2004년 당시 남제주군은 농어촌 지역 마을을 대상으로 자전거 운행 마을로 지정하는 등 다양한 자전거 타기 시책을 펼쳤다. 이 사업을 이어받은 서귀포시는 지난해 5개마을을 선정, 지원함으로써 4년동안 모두 1천1백20만여원을 들여 14개 농어촌마을에 자전거 1천4백16대를 지원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사후관리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게다가 지난 2004년까지 아파트와 공원 등지에 마련된 자전거 거치대 2백6개소(보관대수 2,355)도 사후관리가 안돼 방치되고 있다. 사실상 서귀포시에서 주민들을 위한 자전거 정책은 실종된 셈이다.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