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제주도지사 선거 초반부터 공약 전쟁
예비후보들 생활 밀착형 공약 발표 잇따라
'5000원 육지 나들이'·'10만원대 임대주택'
"포퓰리즘 정책" 지적에 "실현 가능한 공약"
표성준 기자 sjpyo@ihalla.com
입력 : 2018. 03.05. 17:55:45

제주도지사 선거전에 뛰어든 예비후보들이 예선부터 생활 밀착형 정책을 잇따라 발표하면서 뜨거운 공약전쟁을 펼치고 있다.

제주도지사 선거전에 뛰어든 예비후보들이 예선부터 생활 밀착형 정책을 잇따라 발표하면서 뜨거운 공약전쟁을 펼치고 있다. '10만원대 영구임대주택'과 '5000원으로 육지나들이' 등 제목만으로도 귀가 솔깃해지는 공약들이 향후 본선을 정책선거로 이끌 시금석이 될지 주목된다.

 김우남 더불어민주당 제주도지사 선거 예비후보는 5일 선거사무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월 10만원대 청년 공공영구임대주택 5000호 공급'과 '제주형 청년수당 도입' 정책 공약을 발표했다. 김 예비후보는 그동안 '내년부터 고교 무상급식 전면 실시'와 '청년아르바이트생 권리 보장 조례' 등의 공약으로 서민 표심을 공략해왔다.

 이와 함께 같은 당의 문대림 예비후보는 앞서 제주도 내 주택가격 폭등 원인이 적정수준을 넘어선 주택공급과 이에 따른 토지·자재·인건비 연쇄 폭등, 난개발 방지 대책 등으로 인한 인허가 리스크 등에 있다며 집없는 서민을 위해 공공부문에 총량제를 도입하겠다는 정책을 제시했다.

 같은 당 박희수 예비후보도 도민들 누구나 5000원(왕복 1만원)이면 육지를 나들이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공약을 발표해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다른 지역의 섬 주민들이 '농어촌지역특별법'에 따라 선박최고 운임제도를 적용받고 있지만 제주도민들은 도서민인데도 고액을 지불해 항공편과 선박을 이용하는 불평등을 해소하겠다는 것이다.

 자유한국당의 김방훈 예비후보는 선거 때마다 핫이슈가 되고 있는 행정체제 문제를 복지와 연계시킨 공약을 제시했다. 제주시를 동제주시·서제주시로 나눠 서귀포시와 함께 3개 시 체제로 재편한 뒤 신도시를 개발하고, 그 수익으로 복지에 재투자하겠다는 것이다.

 이 같은 예비후보들의 일부 공약에 대해 기자회견장에선 "예산 실정을 무시한 전형적인 포퓰리즘 정책"이 아니냐는 질문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후보들은 "제주개발공사 등 지방공기업과 한국공항공사·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등 제주 소재 국가공기업의 이익을 공유하면 해결할 수 있는 실현 가능 공약"이라는 재원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일부 정당에선 최종 후보가 가려지지 않았는데도 이처럼 활발하게 정책공약이 제시되자 본격 선거전에서는 더욱 구체적이고 다양한 공약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한 선거캠프 관계자는 "초반부터 공약으로 경쟁하는 분위기는 촛불집회 등을 통해 높아진 도민들의 시선을 사로잡기 위한 노력이고, 정책선거를 위해서도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