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서귀포시 주최, 석주명기념사업추진위원회의 주관으로 지난 29일 나비생태체험관에서 열린 '석주명 기념사업 간담회'에서 참가자들이 국제적 시각에서의 기념관 건립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제시했다. 서귀포시 제공 [한라일보] '나비 박사' 석주명선생기념관 건립 타당성에 따른 향후 사업 추진방향 등에 대한 국내외적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서귀포시가 내년도 기념사업 구체화 기본계획 용역을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혀 사업이 가시화 될 전망이다. 서귀포시 주최, 석주명기념사업추진위원회의 주관으로 지난 29일 서귀포시 영천동 소재 나비생태체험관에서 '석주명 기념사업 간담회'가 열렸다. 간담회에는 석주명기념사업추진위원회 이석창 위원장과 위원인 윤용택 제주대 교수, 김찬수 (사)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장이 함께했다. 또한 석주명 선생이 근무(1943∼45년)했던 옛 경성제국대학 부속 생약연구소 제주도 시험장(국가등록 문화재 제785호)을 방문한 신창건 동경이과대학 학장도 참석해 의견을 나눴다. 신 학장은 어머니가 제주출신으로 조선총독부와 경성제국대학 생약연구소 연구 권위자이다. 또한 석주명 전문 연구가인 문만용·신동원 전북대 교수, 초대 제주대 아열대농업연구소장(1981년)을 지낸 김형옥 전 제주대 총장, 제주대 부속 식물원장을 지낸 허인옥 전 제주대 교수, 아열대농업연구소 연구원을 지낸 김용호 전 제주감협 조합장, 곤충학자인 정세호 전 제주도 민속자연사박물관장 등이 자리해 석주명선생기념관 건립의 필요성을 집중 제기했다. ![]() 지난 29일 '석주명 기념사업 간담회' 참석자들이 석주명 선생의 흉상을 찾았다. 신창건 동경이과대학 학장은 "(석주명 선생이 근무했던) 제주도 시험장은 일본에는 없고 제주에만 있는 '디기탈리스'라는 식물을 이용해 강심제를 생산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신동원 전북대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장은 "석주명 선생의 업적은 제주도와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가치가 있으므로, 기념관은 국제적으로 시야를 넓혀 조성할 필요가 있다"며 "보다 깊이 있는 지속적인 연구와 이를 토대로 한 사업이 추진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문만용 전북대 교수도 "석주명 선생의 연구방식은 다른 학자들과 다르게 독특한 연구방식으로 충분한 가치가 있으으로 기념관은 특히 국제적 마인드를 가미해 건립될 수 있길 기대한다"고 했다. 이석창 위원장은 "지금은 큰 걸음을 시작하는 단계로 자료 수집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1940년대 당시 제주의 문화·민속·과학·건축·농업생활 등에 대한 고증과 복원을 바탕으로 한 기념관 건립 등 석주명선생 기념사업을 구체화 시켜야 한다"며 "세미나, 워크숍, 언론홍보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제주뿐만 아니라 전국적인 공감대 형성이 이뤄져야 한다"고 피력했다. 이에 대해 한승엽 서귀포시 도시과장은 "석주명기념관, 관사 복원, 나비공원 조성 등 석주명기념사업의 구체화를 위한 기본계획 용역을 내년부터 본격 추진할 계획"이라며 "아울러 제주도 시험장에 대한 실시설계를 올해 하반기에 착수하고 내년 복원공사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지난 29일 '석주명 기념사업 간담회' 참석자들이 기념관 건립 예정지에 대한 현장답사에 나섰다. #나비 박사 석주명 #석주명기념사업 #제주대 아열대농업연구소 #옛 경성제국대학 부속 생약연구소 제주도 시험장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