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제주4·3이 76주년을 맞았다. 올해 제주4·3에 대한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 뜨겁다. 3일 제주4·3평화공원에서 거행된 4·3 추념식에 국회의원과 정당대표 등 중앙정치권 인사들이 대거 찾았다. 정치권 뿐만이 아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전국 시·도 교육감들도 제주에서 총회를 갖고 4·3 추념식에 참석해 4·3영령들의 넋을 기렸다. 윤석열 대통령을 대신해 참석한 한덕수 국무총리가 추념사를 했다. 한 총리는 이날 추념사에서 "정부는 올해 초 제주4·3특별법을 개정해 사실과 다르게 왜곡된 가족관계를 바로잡을 수 있는 법적 토대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어 "2025년까지 추가 진상조사를 빈틈없이 마무리하고 생존 희생자와 유가족의 온전한 회복을 위해 '트라우마치유센터' 설립과 운영에 더욱 힘쓰겠다"고 약속했다. 오영훈 제주지사는 인사말씀을 통해 "과거의 아픔을 넘어 희망찬 미래를 얘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주4·3과 같은 비극은 없어야 한다. 영문도 모른 채 수많은 제주도민들이 죽어 나갔다. 반세기 가까이 '제주4·3'은 입밖에 내뱉지 못하는 금기어였다. 죄없이 죽임을 당했는데도 '억울하다'는 하소연조차 못하는 기막힌 역사였다. 특히 4·3당시 불법 군사재판으로 억울한 옥살이를 한 수형인들의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다. 윤 대통령이 당선인 신분으로 4·3 추념식에 참석해 희생자와 유가족의 아픔을 달리 위로한 것이 아니다. 4·3 광풍에 '억울한 희생자'로 묻히는 사례가 없도록 함께 보듬어야 한다. 4·3의 아픔을 치유하고 그 상흔을 돌보는 것은 살아남은 자의 몫이요 책임이다.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