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제주연구원 새별오름 회의실에서 열린 제주사회복지포럼에서 참석자들이 제주 저출생 대응 정책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강희만기자 [한라일보] 제주지역 고령화, 저출산 문제로 인구소멸 위기가 심화되면서 고용, 주거, 양육 불안을 안심으로 전환하는 정책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제주연구원 제주사회복지연구센터는 2일 제주연구원 2층 새별오름 회의실에서 2024년 제1차 제주사회복지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는 제주도, 양 행정시 복지 관련 부서 및 민간 사회복지기관 등 3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김은영 제주연구원 제주사회복지연구센터 전문연구위원은 '제주의 초저출생 현실과 전망, 정책적 대응의 필요성'이라는 주제로 발표에 나서 향후 제주의 저출생 대응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김 연구위원의 자료에 따르면 제주지역 저출생 관련 현재 도내 43개 읍·면·동 중 인구소멸위험 지역은 2023년 기준 20곳으로 제주시 8곳, 서귀포시 12곳이 해당된다. 특히 추자면은 인구 소멸지수 0.1로, 소멸 고위험군에 속하며 지난해 기준 인구소멸 지수 0.2에 해당하는 제주시 일도1동과 서귀포시 중앙동의 경우 저출생 현상이 지속될 경우 곧 소멸 위험으로 편입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지역의 경우 지난해 20~39세 여성 인구는 7만3413명으로, 5년 전인 2019년 8만461명 대비 9.1%(7318명) 줄어든 후 지속해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총 인구에서 20~39세 여성 인구의 비중은 전국과 제주에서 모두 감소 추세를 보이며, 지난해 기준 제주는 10.8%(제주시 11.5%, 서귀포시 9.2%)로 전국(11.9%) 평균을 하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귀포시의 20~39세 여성 인구의 비중(9.2%)은 서귀포시 남성 인구비(10.0%)와 비교하면 -0.8%포인트(p), 제주시 여성과 비교하면 -2.8%p, 전국 평균과 비교하면 -2.7%p의 격차를 보였다. 제주지역 초저출생 영향 요인으로 근로여건 악화·소득 부진, 일자리 인식 변화, 정주비용 부담, 생활물가 부담, 생활인프라 부족 등이 꼽히고 있다. 요인별로 보면 근로여건은 2018년 이후 취업기회, 임금수준 및 고용 안정성, 노동수급 불균형 등 청년층 고용시장이 악화되고 있다. 이어 일자리 인식 변화는 근무지 접근성보다 고용의 질 중시, 타지역 근무 및 주거지 이전에 대한 거부감이 약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또 높은 주거비와 생활물가는 소득수준이 낮은 청년층에 부담을 주고 있고 관광객 위주의 문화·체육시설, 교육·쇼핑·의료·교통 등 생활인프라 부족으로 인한 불만족이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주지역 내 저출생 문제와 관련해 20~30대에 포커스를 맞춘 정책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김 연구위원은 향후 저출생 대응 정책 방향(안)으로 돌봄을 강조했다. 김 연구위원은 "환자·장애인·영유아·어린이·고령자 등 혼자서는 생활이 불편한 사람들의 신체적 어려움을 챙겨줄 수 있는 돌봄과 신체적 불편함을 살피는 것을 넘어 마음까지 세심하게 보듬는 돌봄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태윤기자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다음채널홈 바로가기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