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한라일보] 바다로 해가 지는 모습이 참으로 아름다운 마을이다. 그냥 아름다운 것이 아니라 마을 이름과 결부 지어 생각하면 놀랍다. 해가 서쪽 바다 수평선에 있다는 것은 동쪽 방향을 비추는 것. 염전을 통해 수익을 찾던 역사를 지녔으니, 그 조상들에게 있어서 해에 대한 민감성은 높았을 것이다. 섬 제주의 서쪽 바닷가 마을의 입장에서는 그 해가 동쪽에 있는 마을을 비춰주는 것이 가장 득이 되는 상황이었을 것이다. 동일리(東日里)라는 이름 속에 담겨져 있는 두 개의 태양을 주목하게 되는 이유도 그러하다. '동녘 東'이라고 하는 글자는 나무에 걸린 해다. 아침에 떠오르는 해를 형상화했다고 일컬어지지만 동일리에서는 현실적 위치에 따라 '해의 동쪽'-海東 첫 마을의 뜻으로 필자는 받아들였다. 그 시간대가 일몰에 가까운 공간적 상황이니 감각적 찬미를 한 것. 선 쪽 수평선으로 환상적인 모습을 연출하며 떨어지는 해를 바라보며 섬에 있다는 사실을 만끽하는 것은 이방인에게는 더 깊은 인상을 준다. 제주의 서쪽 바닷가 마을들이 대부분 일몰이 아름답다고 자신하지만 동일리 바닷가는 독특한 조간대를 보유하고 있어서 더욱 신비하다. 이 조간대에 1790년경부터 소금밭을 만들어 천일염을 생산하고 제주섬 전역에 팔았다고 한다. 1920년대에는 염전사업이 매우 활발해 최고품질의 동일리 소금이 육지에까지 공급됐다고 하니 놀라운 일이다. 안타까운 것은 그 소금을 지금은 맛볼 수 없다는 것. ![]() 강은호 이장 일과리와 함께 옛 이름이 '날외'다. 마을 어르신들이 전하는 바에 의하면 다른 마을 영역까지 날외라는 지명으로 부르다가 나눠져서 독자적인 마을들로 발전했다는 것이다. 선사시대 지석묘 2기가 발견되는 것으로 보면 이 지역은 이미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살기에 적합한 환경을 지녔다는 것. 바닷가 바위들은 낚시꾼들에게 좋은 포인트를 제공하고 있어서 벵에돔을 잡을 수 있을 정도로 바닷물이 깨끗하고 어족자원 또한 풍부하다. 강은호 이장에게 동일1리가 보유한 가장 큰 자긍심을 묻자 간명하게 한마디로 "젊다는 것"이라고 대답했다. 이색적이면서도 강렬한 메시지를 가진 그 '젊음'의 실체는 마을공동체가 추구하는 조직적 마인드이기도 하다. 농어촌마을이지만 끊임없이 새로운 도전을 이어왔고 이어가게 될 본능적 의무감을 피력하고 있는 것이다. 청년정신으로 무장한 사람들의 마을이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진취적인 마을 분위기를 이어가기 위한 강력한 의지를 '젊은 마을' 동일1리에 담고 있으니 참으로 감동적이다. 올해도 12월 31일에 동일1리가 키워온 '해넘이 축제'가 성대하게 열린다. 독특한 해변경관 속에서 펼쳐지는 한 해의 마무리 축제를 위해 마을공동체 구성원들이 합심해 준비를 한다. 행정당국에서도 이러한 노력에 힘을 보태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는 상황이고 보면 축제의 성공은 마을주민들의 자발적 역량 확인이다. 발전적인 도전을 계속해 일몰축제의 대표단수로 일컬어질 때까지 행적 지원과 관심이 증폭돼야 한다는 것이다. 항상 주인공은 마을공동체가 되도록 해야 소박함이 주는 감동이 생성된다. 최고의 축제품질은 얼마나 큰 조직에서 하느냐 하는 것이 아니라 얼마나 열정적인 마을 사람들이 만들어낸 감동이냐에서 판가름 난다. 동일1리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개척해 일궈낸 해넘이 축제가 연말의 일회성 행사가 아니라 그 상징성의 확장으로 사계절 아름다운 노을 속에서 힐링을 얻고자 하는 사람들의 필수 방문코스가 되도록 모두 함께 힘을 모아간다만 소금을 만들어주던 해가 황금을 만드는 해로 변모하게 될 것이라는 희망을 가지고. <시각예술가> 집과 집을 이어주는 햇살 <수채화 79cm×35cm> ![]() 차들이 자주 다니는 대로변 인도라서 주거공간과 이격을 형성하는 돌담이 규칙적으로 흘러간다. 크고 작은 템포를 따라서 광선들이 미세한 변화를 연출하는 공간감이 경쾌하다. 단절된듯하지만 빛을 통해 하나의 시간 속에 머물게 하는 힘이 느껴진다. 멀리 높은 돌담과 가까이에 한 줄로 이어진 돌담 사이에 무대가 마련된 구성. 그늘이 생성시키는 공간감을 표현하려 노력했다. 밝은 페인트 색 벽이 그늘 속에서는 햇살의 밝기와 어떤 정도의 명도차이를 만들게 되는지 확인. 불턱동산의 의미 <수채화 79cm×35cm> ![]() 용암이 바닷가까지 흘러와 굳은 검은 현무암 무더기가 그냥 쉽게 표현해 '검다'고 하겠지만 그 색은 결코 검기만 한 색이 아니다. 태양광선과 만나면서 시시각각 참으로 미묘하게 색채를 달리하는 마법을 부린다. 진지하게 그 명암의 굴곡들을 하나하나 연결하며 찾아 나섰다. 얼마나 오랜 시간을 염분과 바람에 풍화돼 오늘의 모습일까? 진정 처음에는 동산이었다가 세월이 조각을 해 저 모습으로 창조된 것은 아닌지 그리는 내내 궁금했다. 다시 만년이 흘러도 '동산'이라 부르겠지만.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