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0일 '2024 제주섬 글로벌 에코투어' 15차 행사가 열렸다. 올해 마지막 행사에 참여한 참가자들이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 백화동 마을을 출발해 전세미못을 거쳐 은빛물결이 출렁이는 목장길을 걸으며 늦가을의 정취를 만끽하고 있다. 오승국 시인 파도처럼 일렁인 억새물결 장관 숲길 지나 언덕같은 가메옥 올라 4·3의 아픔 간직한 곳도 둘러봐 [한라일보] 달랑 한 장 남은 12월 달력이 외롭게 걸려 있다. 화사한 오월 봄날에 시작한 2024 에코투어가 11월의 마지막 날 오늘(30일), 15차를 끝으로 아쉬운 마음으로 발걸음을 멈춘다. 오랜 무더위와 비날씨 속에서도 우리는 기꺼이 숲의 나무와 들꽃에 사랑의 언어를 전하며 자연과 인생의 행복한 일치를 서로 나눴다. '2024 제주섬 글로벌 에코투어' 마지막 여정은 백화동 마을, 윗밤오름, 용암길, 가메옥, 억새밭, 거슨세미오름으로 이어지는 13.5㎞의 드넓은 광야의 길을 걸었다. 실고사리 주홍서나물 오늘의 첫발을 내딛는다. 백화동으로 불리기도 하는 선흘리 백화동(百花洞) 마을은 4·3 당시 15가호의 주민 80여명이 거주하는 화전 마을이었다. 군인 토벌대의 초토화작전으로 마을은 잿더미로 변했고, 주민들은 윗밤오름 인근 벤벵듸굴로 피신했으나 토벌대에 발각되어 많은 주민들이 희생됐다. 그 후 백화동은 끝내 재건되지 않아 잃어버린 마을로 남게 됐다. 현재 백화동엔 당시 주민들이 식수로 사용했던 골연못이 그대로 남아 있고, 옛 집터에는 대나무숲이 무성하다. 최근에 전원주택들이 들어서 다시 마을이 형성되고 있다. 은조롱 화살나무 정상부까지 펼쳐진 삼나무 숲을 치고 올라 윗밤오름의 정상에 섰다. 북쪽에 있는 알밤오름과 함께 형제 오름으로 불린다. 정상에서 분화구까지는 빽빽하게 자연림이 형성되었고, 북오름 너머 성산과 우도까지 한눈에 보인다. 오름 동쪽으로 하산하니 가을하늘 아래 파란물색이 수려한 전세미못이 있다. 특히 여름철엔 하얀 어리연꽃이 물 위를 가득 메워 장관을 이루고, 마름·택사·물달개비 등 다양한 수생식물들도 꽃을 피운다. 전세미못 근처에는 세계자연유산 지정의 근거가 됐던 거문오름 용암동굴계의 시원이 되는 벤뱅듸굴이 있다. 이곳도 4·3 당시 선인동 사람들이 피신처였으나 토벌대에 발각되어 많은 사람들이 희생됐다. 털머위 구멍장이버섯 곶자왈 함몰지역을 가로질러 용암길로 나선다. 활엽낙엽수인 서어, 졸참, 산딸, 때죽, 단풍, 참꽃, 쥐똥, 윤노리 나무가 울창한 자연림을 이루고 있다. 용암길은 거문오름에서 용암이 흘러간 길을 따라 만든 길이다. 용암길을 힘들게 빠져나와 걷다 보니 은둔의 오름 가메옥이 나타났다. 사람의 발길이 거의 닿지 않아 거칠었다. 비고가 28m 밖에 안돼 오름이라기보다 언덕에 가깝지만 능선을 돌아 정상에 오르니 시원한 바람과 그림 같은 풍경이 눈앞에 펼쳐졌다. 높은오름과 칡오름, 안·밧돌오름, 민오름, 거슨세미오름 등이 부드러운 곡선미를 자랑한다. 은빛 억새밭이 파도처럼 일렁이는 광야를 걷는다. 만주벌판처럼 광활하게 펼쳐진 송당목장을 잇는 길을 걸어 종착지인 거슨세미오름 주차장으로 향한다. 한 해 동안 에코투어의 아름다운 길을 안전하게 이끌어준 박태석 님, 김병준 논설실장과 안전요원들께 감사드린다. 그리고 함께 길을 걸었던 모든 동행자들, 내년 다시 만날 때까지 안녕. 오승국 시인 <제주작가회의 회장>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