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한라일보] 어떤 공감대가 얼마나 귀중한 마을 자산이 되는 것인지 가장 명확하게 실천적으로 보여주는 마을이다. 동백이라고 테마 속에는 신흥2리의 역사가 고스란히 녹아들어 있다. 설촌터라고 하는 곳이 엄연하게 존재하는 곳도 이 마을 외에는 찾아보기 힘들 것이다. 수령이 300년 넘는 동백나무 숲이 가지는 의미는 마을의 시작에 대한 분명한 기록과 함께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숙종 32년(서기 1706년) 입도 시조 광산 김씨 12세 손 중의 한 분이신 김명환 님이 표선면 토산리에서 이 곳에 들어와 살면서 마을의 역사는 시작됐다. 그 후, 여러 성씨들이 들어와 살면서 100여 호의 마을로 번창했다는 사실. 마을 형성기에 조상들이 심기 시작한 수령 300년이 넘는 동백나무들을 마을 곳곳에서 볼 수 있다. 그 동백나무들의 연륜이 마을의 정신적 공감대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풍수사상에 입각해 전해 내려오는 신흥2리의 위상은 이러하다. 탐라에는 6대 양택혈이 있다고 하는데 그중 제2혈이 이곳이라고 한다. 평온한 마을의 형세가 안고 흐르는 냇가가 있어서 일명 '여호내'라고 하는 호천(狐川)이기도 하다. 예로부터 예온천(禮溫川)으로 불리며 양반들이 주로 살아왔다. 그래서 사람들의 성품이 온유하고 다툼을 멀리하는 문화가 마을의 정신적 유산으로 계승돼 오고 있는 것이라고 한다. ![]() 김경범 이장 대다수의 주민들이 감귤농사를 짓지만 가을이면 할머니들이 동백열매를 주우러 다니는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마을 공동사업으로 운영하는 동백방앗간에서 동백기름을 짜고, 이를 활용한 비누를 만들기도 한다. 그 동백방앗간에서 생산된 동백기름 덕에 마을공동체 활성화는 물론 농외소득까지 올리고 있다. 동백마을의 유명세에 그 소문을 듣고 찾아오는 방문객들에게 음식, 비누, 공예 만들기 등 동백과 관련된 콘텐츠들을 가지고 다양한 체험프로그램도 제공하고 있다. 테마 중심 마을발전 전략의 전국적 성공사례로 귀감이 된다. 그러한 평가는 식물자원을 마을공동체 문화의 정신적 일체감으로 승화시켰다는 세간의 인식에서 더욱 가치를 인정받게 된 것이다. 어찌 하루아침에 이뤄낸 성과겠는가? 동백고장보전연구회원들이 동백묘목을 직접 키워서 마을 주변에 심고 가꾸며, 성장한 동백나무에서 얻은 열매를 가을과 겨울에 수매하는 등 동백고장의 보전과 발전을 위해 끊임없이 연구와 실천을 해온 누적의 시간들이 소중한 미래 자산으로 작용하고 있다. 김경범 이장에게 신흥2리가 보유하고 있는 가장 큰 자긍심을 묻자 주저 없이 간명하게 대답했다. "잘 모돠듭니다." 마을 일을 자신의 일처럼 생각하는 분위기를 제주어로 힘줘 표현한 것이다. 마을 인구로는 그렇게 크다고 볼 수 없는 마을임에도 청년회와 부녀회 활동이 그 어떤 마을에 뒤지지 않을 정도로 왕성한 것은 마을공동체의 소중한 가치를 뼛속 깊이 인식하고 있기에 가능하다는 것이다. 도시에 나가서 직장생활을 하면서도 마을청년회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에서 신흥2리의 희망을 바라보고 있다고 한다. 선대에서부터 내려온 전통이므로 이러한 토대 위에서 세대 간의 갈등 같은 것은 먼 나라 이야기 정도로 들린다는 것이다. 각 세대가 너무 잘 어울려 일하는 모습에서 어떤 가족과 같은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공통관심사가 있다는 것은 마을이 하나 되는 촉매이자 성과의 열매가 된다는 사실을 신흥2리 주민들은 스스로의 노력으로 입증하고 있는 것이다. 다양한 협력 제안들이 외부에서 쏟아지는 이유도 이러한 마을 결속력에 대한 신뢰에서 비롯하고 있기에 마을공동체정신 그 자체가 하나의 커다란 경제적 자원으로 작용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시각예술가> 부지런한 봄 햇살 <수채화 79cm×35cm> ![]() 여절악 정상에서 <수채화 79cm×35cm> ![]()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