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지난 2월 열린 지속가능발전 비전 선포식. 한라일보 자료사진 [한라일보] 민선 8기 오영훈 제주도정 출범 이후 관 주도 행사에 투입하는 예산이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 재정 여건과 민생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1시간 30분 짜리 관 주도 행사에 수천만원을 쓰는가하면, 행사장에서 종이 비행기 400개를 날리겠다며 예산을 지출한 경우도 있었다. 16일 이남근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에 따르면 제주도는 제1회 추경을 통해 본 예산 대비 7.7% 증액한 297억600만원을 행사 운영비로 편성했다. 행사 운영비는 제주도가 직접 개최하는 행사에 투입하는 예산 과목을 말한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행사운영비는 오영훈 도정이 출범한 지난 2022년 200억8700만원에서 이듬해 241억600만원으로 20.0% 증가했다가 역대급 '세수 펑크'(세수 결손)가 발생한 2024년에는 204억1700만원으로 15.3% 감소했다. 그러다 올해 들어서는 1회 추경에 297억600만원이 편성되는 등 한해 사이 45.4% 늘어 300억원에 육박했다. 2022년과 비교하면 올해 행사운영비 증가 폭은 47.9%에 달했다. 반면 제주도가 민간단체 행사에 지원하는 예산인 '행사사업보조금'은 2022년 224억9800만원에서 올해 265억6900만원으로 18.1%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런 추세가 반영되다보니 올해에는 제주도 주최 행사 예산이 민간단체 지원 예산을 앞지르는 역전 현상도 벌어졌다. ![]() 질의하는 제주자치도의회 이남근 의원. 이남근 의원은 "보여주기식 행사에 예산이 많이 투입되는 경향이 있다"며 그 사례로 지난 2월 열린 '2040 제주도 지속가능발전 비전 선포식'과 지난달 7일 열린 '제주도민대학 명예학위 수여식 및 개강식', 그달 18일 열린 안전문화운동 발대식을 겨냥했다. 1시간 30분 동안 진행된 지속가능발전 비전 선포식에는 원래 5500만원이 편성됐지만 제주도는 이중 강연료 800만원을 포함해 4000여만원을 지출했다. 또 63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명예학위 수여식에는 4500만원이, 안전문화운동 발대식에는 1300만원이 각각 투입됐다. 이 의원은 "(구체적인 쓰임새를 보면) 행사장 스크린에 띄울 강연자료 제작에 3000만원, 퍼포먼스 영상 제작에 3000만원, 글자 조형물 제작에 230만원, 종이 비행기 400개 제작에 48만원을 썼다"면서 "모두 한 두 시간짜리 행사였다. 종이비행기 날리고, 풍선 터뜨리고 하는데 예산을 쓰는 게 맞느냐"고 지적했다. 또 이 의원은 "행사 참석자들도 대부분 관변단체 인사들"이라며 "민생경제가 어렵기 때문에 보여주기식 행사에 예산을 덜 쓰고 실질적으로 도움을 주는 쪽에 예산을 더 투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런 지적에 대해 최명동 기획조정실장은 "도정 정책을 도민들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시각적인 효과를 줬다"며 "재정사업평가를 통해 각종 (행사)를 꾸준히 점검하겠다"고 답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