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최저임금 16.4% 인상 긍정평가 63.6%

2018년 최저임금 16.4% 인상 긍정평가 63.6%
최저임금 적정 인상 수준 '8500원 미만'으로 가장 많아
응답자 절반 이상 '최저임금 인상률 차등 적용'에 공감
  • 입력 : 2018. 07.15(일) 15:42
  • 조상윤 기자 sycho@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http://www.ksoi.org)는 7월 정례조사를 실시한 결과 2018년 최저임금을 시간당 7530원(2017년 대비 16.4% 인상)으로 인상한 것과 관련 긍정평가는 63.6%(매우 잘한 일이다 23.8%, 어느 정도 잘한 일이다 39.8%), 부정평가는 32.4%(매우 잘못한 일이다 10.2%, 별로 잘못한 일이다 22.2%)로 긍정평가가 +31.2%p 우세했다고 15일 밝혔다.

긍정평가는 남성(60.7%)보다 여성(65.9%)이 높았고 연령별로는 30대(81.6%)?20대(77.3%), 권역별로는 광주/전라(77.8%)?강원/제주(70.3%), 직업별로는 화이트칼라(74.6%)?학생(74.0%), 정치이념성향별로는 진보(81.2%), 가구소득별로는 200만~500만원 미만(67.6%). 최종학력별로는 대재 이상(68.5%),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층(77.1%)에서 높게 나타났다.

부정평가는 여성(29.8%)보다 남성(35.8%)이 높았고, 연령별로는 60세 이상(48.0%)·50대(44.0%), 권역별로는 대구/경북(40.4%)·부산/울산/경남(39.0%), 직업별로는 자영업(46.4%), 정치이념성향별로는 보수층(57.7%), 최종학력별로는 고졸(37.5%), 가구소득별로는 500만원 이상(37.5%), 지지정당별로는 자유한국당 지지층(63.1%)에서 높게 나타났다.

2019년 최저임금을 '인상해야 한다'(41.9%)는 응답자 405명에게 그 적정 수준을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37.4%는 8500원 미만(7~12% 인상)이 적정 인상 수준이라고 했고, 8000원 미만(6% 인상) 15.7%, 1만원 미만(27~32% 인상) 15.6%, 9000원 미만(13~19% 인상) 14.5%, 1만원 이상(33% 인상) 11.6%, 9500원 미만(20~26% 인상) 2.9% 순이었다.

2019년 최저임금 적정 인상 수준 중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인 '8500원 미만(7~12% 인상)' 응답은 연령별로는 20대(44.1%)·30대(41.2%), 권역별로는 강원/제주(67.2%)·인천/경기(42.7%)·서울(40.2%), 직업별로는 학생(52.6%)·화이트칼라(41.5%)·자영업(39.7%), 정치이념성향별로는 진보(40.5%)·보수(39.3%), 최종학력별로는 대제 이상(44.3%), 가구소득별로는 500만원 이상(41.1%)·200만~500만원 미만(39.1%), 지지정당별로는 정의당 지지층(45.1%)·무당층(42.2%)에서 높았다.

한편 2019년 최저임금위원회 노동계와 경영계는 각각 최초 최저임금 요구안으로 1만790원, 7530원을 요구했다. 이와 관련 1만원 이상 인상이 적정 수준이라는 응답률은 11.6%, 8000원 미만이 적정 수준이라는 응답률은 15.7%에 그쳤다.

지난 13일 최저임금위원회에서 결정한 2019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8350원으로 2018년 대비 10.9% 인상한 수준이다.

2019년 최저임금위원회 쟁점이었던 '업종별·규모별 최저임금 인상률 차등 적용'과 관련해 전체 응답자 중 57.2%가 '최저임금 지불능력이 되지 않는 업종이 있기 때문에 인상률을 차등 적용해야 한다'고 응답했고, 36.2%가 '차등적용으로 최저임금을 받고 있는 저임금노동자 간 임금격차가 발생하고, 저임금 업종이라는 낙인이 찍힐 수 있어 적용할 수 없다'고 했다.

최저임금 인상률 차등적용에 동의하는 응답은 연령별로는 30대(62.3%)·60세 이상(60.0%), 권역별로는 강원/제주(70.5%)·부산/울산/경남(63.1%)·대구/경북(61.6%), 직업별로는 자영업(67.6%), 정치이념성향별로는 보수(64.3%), 지지정당별로는 자유한국당(71.1%)·바른미래당(64.4%) 지지층에서 높았다.

차등적용에 반대하는 응답은 연령별로 20대·40대(43.0%), 권역별로는 인천/경기(40.9%)·광주/전라(36.2%), 직업별로는 블루칼라(44.3%)·화이트칼라(40.9%)·학생(40.3%), 정치이념성향별로는 진보(43.0%), 최종학력별로는 대제 이상(39.6%), 가구소득별로는 500만원 이상(40.4%), 지지정당별로는 정의당(50.8%) 지지층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최저임금 인상 효과와 관련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51.7%가 '노동시간 축소, 고용 감소로 인한 실업자 증가, 물가 상승 등 부작용이 더 클 수 있다'고 했고, 41.5%는 '가계소득과 소비를 늘리고 내수 활성화, 기업투자와 고용 증가로 국가경제 발전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했다.

최저임금 인상 효과로 '부작용이 더 클 수 있다'(51.7%)는 의견에 대한 공감도는 연령별로 50대(58.6%)와 60세 이상(66.4%), 권역별로 대전/세종/충청(59.2%), 대구/경북(63.6%) 거주층, 직업별로 자영업(62.2%), 무직/기타(58.7%), 정치이념성향별로 보수(71.6%)층과 중도(62.5%)층, 지지정당별로 자유한국당(77.1%), 바른미래당(81.6%) 지지층과 무당층(66.7%)에서 높게 조사됐다.

반면 '최저임금 인상은 국가경제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41.5%)는 의견 공감도는 연령별로 30대(58.6%), 40대(49.9%), 권역별로 광주/전라(50.6%), 직업별로 화이트칼라(52.6%)층, 정치이념성향별로 진보(63.3%)층, 지지정당별로 더불어민주당(51.8%)과 정의당(62.1%) 지지층에서 높게 조사됐다.

이번 여론조사는 한국사회여론연구소가 최저임금과 난민문제 등 주요현안과 관련해 마련한 7월 정례조사로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8명을 대상으로 7월 13일~14일 이틀에 걸쳐 유무선 RDD(무선 79.5%, 유선 20.5%)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실시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수준, 응답률은 9.3%(유선전화면접 5.3%, 무선전화면접 11.5%)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1078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