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복의 현장시선] 변화와 도전에 직면한 건설 산업의 혁신 방안

[이시복의 현장시선] 변화와 도전에 직면한 건설 산업의 혁신 방안
  • 입력 : 2019. 01.18(금) 00:00
  • 김경섭 수습기자 kks@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희망과 번영의 상징 황금돼지 해가 어느덧 보름이 지나가고 있다. 기해년 업무를 시작한 건설사들은 일제히 올해 건설시장의 최대 화두로 분양가 규제에 이은 대출 규제, 금리 인상, 소극적인 SOC투자, 지방 경기 침체 등에 따른 '불확실성 확대'를 꼽았다. 하지만 건설사 CEO들의 신년사를 관통하는 경영 키워드는 변화와 경쟁력이었다. 되돌아보면 어렵지 않았던 시기는 한 번도 없었으며,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는 말이 있듯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역량 강화를 통한 건설 산업이 혁신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건설 산업의 혁신은 기술과 생산구조, 시장질서, 일자리 등 크게 4개의 축으로 나뉜다. 지속가능한 성장과 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술 혁신과 칸막이식 업역 규제를 탈피한 생산성 극대화가 핵심이다. 여기에 페이퍼컴퍼니 등 부실기업을 털어내고 공사비 삭감 등 불공정 관행을 근절함으로써 시장 질서를 바로 세우는 것도 더는 미룰 수 없는 과제다. 이를 위해서는 업역 규제만큼이나 오랜 시간 업계와 시장을 짓눌러왔던 계약제도 혁신이 필수다. 부실기업이 낙찰 받을 수 있는 운찰제를 그대로 방치하거나 적정 공기와 공사비를 보장받을 수 없는 환경을 개선하지 않는다면 건설 산업의 혁신은 불가능하다.

그래도 다행히 정부가 과도한 저가 낙찰 방지를 위하여 가격평가 기준을 개선하고, 기술 변별력 강화를 골자로 발주제도를 뜯어고치기로 했다. 또 예정가격산정부터 간접비 등 추가비용 분담에 이르기까지, 적정 공사비를 책정하고 지급하기로 했다. 적정 공기 보장을 위하여 지난해 12월 국토부는 적정 공기 산정을 위한 기본공식을 내놓기도 했다. 당장의 일자리 창출과 더불어 삶의 질을 개선하고 물류와 관광의 경쟁력을 견인하는 건설업의 중요성을 재인식한 것일까? 축소 지향적으로 일관했던 정부의 건설정책 기조에 변화가 일기 시작했다. 그러나 여전히 공기 산정 및 조정을 위한 데이터는 부족하고, 국토부가 내놓은 대책이 훈령이다 보니 실제 현장에 미칠 강제력이 미흡하다는 점은 앞으로 보완했으면 한다.

정부가 위와 같이 2022년까지 건설 산업 혁신을 위해 제5차 건설산업진흥기본계획을 수립했지만 앞으로가 중요하다. 개발시대처럼 정부정책에 기대어 하루 먹거리에 일희일비 하지 말아야 한다. 우리 건설인들도 더 이상 정부에만 의존하려 하지 말고 자생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 불확실성 시대에 대한 가장 확실한 대응은 스스로 확실해지는 것이다. 어떠한 상황이 주어지더라도 헤쳐 나갈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춰나가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회사의 기본기를 탄탄하게 해야 한다. 지금처럼 물량난이 현실화되는 상황에서 무조건 공사를 수주하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 무리하게 수주를 했다간 경영악화라는 부메랑이 되어 돌아올 수 있다. 양적 성장 보다는 수익 및 내실 강화에 중점을 둔 질적 성장과 더불어 경영 안정화를 추구해야 한다. 이 밖에도 품질 및 원가 경쟁력 강화에 더욱 집중해야 하고, 회사 경영에서 낭비 요소를 철저히 발굴해서 경영비용 절감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건설 산업은 그동안 어렵지 않은 적이 없을 정도로 위기로 점철되어왔다. 하지만 위기는 위험과 기회라는 두 가지 뜻이 내포되어 있다. 기회는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 내는 것이다. 강자가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살아남는 자가 강한 것이다. 늘 우리 건설인들의 특유의 뚝심으로 돌파구를 열어왔듯이 위기를 자양분 삼아 희망의 싹을 틔우도록 하자. 정부와 건설인들이 힘을 합쳐 건설 산업이 재도약할 수 있는 한 해가 되었으면 한다.

<이시복 대한건설협회 제주특별자치도회장>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6807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