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술한 '개인하수처리시설'… 지하수 멍든다

허술한 '개인하수처리시설'… 지하수 멍든다
1만400개 존재하지만 오염취약성 연구 無
제주연구원서 조천·애월읍 실태조사 진행
해충 득실… 10개 중 7개는 수질 기준 초과
  • 입력 : 2020. 01.07(화) 15:29
  • 송은범기자 seb1119@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 지하수를 보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지만, 정작 1만개가 넘은 '개인하수처리시설'에 대한 관리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연구원은 7일 '제주도 개인하수처리시설 운영개선을 위한 기초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지하수 3대 오염원(화학비료·가축분뇨·생활하수) 가운데 생활하수에 대한 조사가 미흡함에 따라 진행된 것이다.

 개인하수처리시설 설치는 공공하수관로가 연결되지 않은 곳에서 이뤄지며, 1일 오수 발생량이 1㎥를 초과하는 경우 의무적으로 조성해야 한다. 지난해 9월 기준 도내 개인하수처리시설은 1만400개소이며, 이중 1000개소 이상 시설을 보유한 지역은 조천읍 1543개소, 애월읍 1517개소, 표선면 1124개소, 안덕면 1102개소, 한림읍 1035개소 등이다.

 이에 따라 연구진은 개인하수처리시설이 밀집된 애월읍과 조천읍에 위치한 10개소를 '시범연구지역'으로 선정, 운영·관리실태 및 방류수 수질분석을 진행했다.

 조사 결과 대부분 시설이 관리가 부실했고, 전원이 차단되거나 고장난 사례도 빈번했다. 아울러 하수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슬러지를 주기적으로 청소하지 않아 처리시설 내에 해충이 서식하는 경우도 확인됐다.

 방류수 검사에서는 문제가 더 심했다. 10개소 가운데 7개소가 수질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드러난 것이다. 특히 용도가 숙박업소인 4개소에서는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이 기준치의 5배를 초과했으며, 부유물질(SS)도 2배 이상 높았다.

 이러한 원인에 대해 제주연구원은 개인하수처리시설 1만400개소 가운데 50㎥ 미만 시설이 99%에 달하는 점을 꼽았다. 50㎥ 미만은 운영·관리를 위한 교육이나 기술관리인을 선임할 의무가 없기 때문이다.

 제주연구원 관계자는 "향후 1만400개소에 대한 전수조사를 통해 적정처리 여부 및 운영실태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다"며 "궁극적으로는 경기도나 강원도처럼 개인하수처리시설 관리를 지역단위로 그룹화시켜 전문기관에 위탁관리 혹은 공영관리가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4703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