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에 아프리카 돼지열병이 확산되면?

제주에 아프리카 돼지열병이 확산되면?
제주형 방역체계 구축 연구용역 마무리
지하수 오염 고려해 매몰 아닌 '랜더링'
신규 양돈농가는 밀집되지 않도록 검토
  • 입력 : 2020. 01.16(목) 18:08
  • 송은범기자 seb1119@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아프리카 돼지열병(ASF)'이 제주로 확산됐을 경우 구축되는 '방역체계'의 밑그림이 나왔다. 지하수에 의존하는 제주의 특성을 고려한 '랜더링 처리', 밀집된 양돈농가를 분산시키는 방안이 주요 내용이다.

 16일 제주도에 따르면 지난해 4월부터 12월까지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진행한 'ASF 해외근절 사례 조사를 통한 제주형 방역체계 제안' 연구 용역이 최근 마무리됐다.

 ASF는 치사율 100%에 달하는 바이러스 출혈성 돼지 전염병이지만, 구제역과 달리 예방 백신이 없다. 최근 스페인 국적의 호세 박사가 시험백신을 중국에서 접종했지만 80%는 폐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직 제주는 ASF가 유입되지 않았지만, 섬이라는 특성상 한 번 유입되면 걷잡을 수 없는 속도로 확산이 이뤄질 우려가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용역진은 다른 지역과 다른 '제주형 방역체계'를 제안했다.

 먼저 살처분 방식은 사체를 고온·고압으로 처리하는 '랜더링' 방식이 제안됐다. 제주는 다공성 현무암이 많아 살처분한 사체를 일반적인 방법으로 매몰할 경우 침출수로 인한 지반과 지하수 오염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 밖에도 ▷일부지역에 밀집돼 있는 양돈단지를 분산 ▷해외여행객 수화물 검색 및 홍보 강화 ▷야생멧돼지 개체수 조사 및 포획 ▷외근선박의 긴급피항시 대책 마련 ▷육지부 반입 사료·정액·퇴비에 대한 검사방법 확립 ▷책임수의사제 도입 등이 제시됐다.

 이에 대해 제주도 관계자는 "대정과 한림에 위치한 농공단지에 있는 랜더링 업체 두 곳에 국비를 지원 받아 시설을 확대할 예정"이라면서도 "양돈단지 분사화는 이상적인 정책이기는 하지만 기존의 양돈단지를 다른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근거가 없다. 다만 향후 새로 생기는 양돈농가에 대해서는 분산화를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연구 용역 결과를 통해 올해 안으로 당장 추진가능한 계획들을 진행할 예정"이라며 "구체적으로는 대규모 살처분에 대비한 랜더링 시설 확충, 농가들의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동선 배치, 거점 소독시설 상시 운영 등"이라고 덧붙였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466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