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상철의 목요담론] 180년 전의 제주, 추사와 세한도를 떠 올리며

[양상철의 목요담론] 180년 전의 제주, 추사와 세한도를 떠 올리며
  • 입력 : 2020. 09.10(목) 00:00
  • 김도영 기자 doyoung@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얼마 전 '추사 김정희(1786~1856)의 대표작 세한도(歲寒圖,국보 180호)가 올 1월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됐다'는 보도가 있었다. 세한도는 통역관으로 중국을 다녀오면서 '경세문편(經世文編)'이란 책을 구해 보내 준 제자 이상적(李尙迪)에게 추사가 그려준 그림이다. '세한(歲寒)'이란 논어(論語) 자한(子罕)편 '추운 계절이 된 뒤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푸르게 남아 있음을 안다(歲寒然後 知松柏之後凋)'에서 나온 말이다.

세한도 소장사(所藏史) 중에는 서예가 소전 손재형(孫在馨,1903~1981)이 현해탄을 건너가, 일본인 추사 연구가 후지쓰카 지카시(藤塚隣,1879~1948)로부터 세한도를 가져온 일화가 유명하다.

소전이 끈질기게 두 달간 아침마다 문안하여 팔 것을 요구하자, "그대 나라의 것이고, 그대가 나보다 이 작품을 더 사랑하니 가져가라"며 대가없이 세한도를 건넨 이 이야기는 지금도 감동을 준다.

세한도는 농묵(濃墨) 묻힌 운필로 단순하고 거칠게 그려져, 감상의 안내 없이는 보기가 수월치 않다. 그림 좌우에 여백을 두고 가운데 작은 집 한 채, 그리고 (추사인 듯한) 늙은 소나무 한 그루와 잣나무 세 그루가 쓸쓸하기 그지없다. 그림도 그림이려니와 권세와 세력가에 좇지 않고, 귀양살이에 보잘 것 없어진 추사를 찾은 이상적의 의리를 사마천과 공자의 말로 인용한 발문 또한 압권이다.

"사마천(司馬遷)이, '권세나 이익 때문에 사귄 경우에는 권세나 이익이 바닥나면 그 교제가 멀어지는 법이다'하였다. 그대 역시 세속의 거센 풍조 속에서 살아가는 한 인간이다. 그런데 어찌 그대는 권세가와 재력가를 붙좇는 세속의 도도한 풍조로부터 초연히 벗어나, 권세나 재력을 잣대로 삼아 나를 대하지 않는단 말인가? 사마천의 말이 틀렸는가?"

추사 김정희가 1840년 9월 제주에 유배됐으니, 올해가 180년이 되는 해이다. 추사가 제주 땅을 밟았을 때, 지천에 버려진 수선화를 자신의 처지와 동일시하여 '자연'으로부터 자기연민을 구할 수 있었다. 또한 지치고 병든 몸과 견디기 힘든 고독감 속에서 '엄동(嚴冬)이 된 이후에도 소나무·잣나무 같이 변함없는'이상적의 의리를 보며, '인간'으로부터의 희망도 느꼈을 것이다. 이렇듯 처절한 제주유배 생활을 승화시켜 이룬 추사의 예술은 조선 말기 이후 우리나라 문예사조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오래전 제주를 방문한 지인과 추사적거지와 대정향교, 추사가 다녔을 단산 주변을 거닐면서, "단산 기슭에 세한도를 실물로 재현한다면, 참 좋은 교육장이 될 것 같다"는 얘기를 나눈 적 있다.

요즘 사람과 사람이 거리를 두고 살다보니 지나치게 자기중심적이다. 나와 너로 갈려 사회 분위기가 뒤숭숭하고, 의분(義憤)은 시들어 자기주장만 옳다고 한다. 권세에 기대어 보신하고 이익을 챙기는 세력들이 횡횡한 건 옛날과 다를 바 없을 것이다.

단산 앞길을 거니며 이상적의 '시들지 않은 세한의 지조와 절의'를 다시 한 번 떠올려 본다.

<양상철 융합서예술가·문화칼럼니스트>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2668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