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구좌·성산읍 해수면 상승 '위험수위'

제주 구좌·성산읍 해수면 상승 '위험수위'
제주연구원, 동부권·일부 동지역 37% 취약 판단
연안저지대 등 재해취약지역 관리방안 강화 시급
  • 입력 : 2020. 11.24(화) 16:41
  • 백금탁기자 ㏊ru@i㏊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지역에 대한 재해취약성 분석 결과, 해수면 상승에 따른 취약지역이 연안저지대를 중심으로 37%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태풍 유입, 해수면 상승, 해안 침식 등의 기후변화 영향이 최근 더욱 가속화 되면서 이에 대한 방재 관점의 대응책 마련 및 체계적인 관리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제주연구원이 24일 발표한 '해수면 상승 영향에 따른 제주지역 관리방안 연구'에 따르면 재해취약지역(해안육역 1㎞ 이내)은 1등급 8.5%, 2등급 28.5%로 각각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동부지역이 가장 취약했고, 서쪽과 북쪽 지역 순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왔다. 반면 서귀포시와 남원읍 등 남쪽지역은 전반적으로 취약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재해취약성 등급별로 보면, 1등급 지역은 제주시 구좌읍과 서귀포시 성산읍에서 해안선을 따라 집중됐고 제주시 동지역도 일부 포함됐다. 취약성 2등급 지역은 서귀포시 동지역과 남원읍 일부를 제외한 도내 해안 대부분이 해당됐다.

이에 따른 제주도 전 해안선 일대에 대한 해수면 상승 영향을 대비해 재해취약지역에 대한 관리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박창열(책임연구원)·문경태·강민석 연구팀은 "제주지역 해수면 상승률은 전국 평균의 2배 이상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라며 "지자체의 관리 노력을 비롯해 중앙정부 차원에서의 모니터링 및 평가체계 등을 정례화해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도내 4개 지역의 해수면 상승폭은 성산포가 5.38㎜로 가장 높고 제주시 5.22㎜, 모슬포 3.59㎜, 서귀포시 3.79㎜ 등이다. 이는 2017년 기준, 전국 평균 2.74㎜에 비해 2배 수준이다.

이처럼 제주지역은 기후변화 영향 확대, 인구 유입 및 관광객 증가, 노년인구 증가 등에 의해 재해 취약성이 악화되고 있다. 또한 제주도는 섬이란 지정학적 여건에 의해 연안 중심으로 주거지 및 숙박시설 등이 형성되며 해수면 상승에 대비한 향후 이주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 연구팀은 개발사업 진행이나 예정지구의 토지이용 계획 시에는 개발 입지 제어가 필요하고 건축 시 대지 승고 및 고상식건축 등의 방안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7048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