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집중 2046년 국내 대학 절반 이상 사라진다"

"수도권 집중 2046년 국내 대학 절반 이상 사라진다"
서울대·보건사회硏 보고서…"수도권 편중 조정 절실"
  • 입력 : 2021. 12.05(일) 08:43
  • 연합뉴스 기자 hl@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서울대 전경. 연합뉴스

향후 25년 내 국내 대학의 절반 이상이 사라질 수 있다는 우려 섞인 예측이 제기됐다.

서울 등 수도권의 청년인구 편중 현상이 심화하면서 지역 간 세수 격차와 사회 갈등이 심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5일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미래전망 전문가 포럼'에 발표된 '인구변동과 미래 전망: 지방대학 분야' 보고서에 따르면 2042∼2046년 국내 대학 수는 190개로 예상된다.

올해 기준 국내 대학은 총 385곳으로, 25년 뒤에는 절반(49.4%)만 살아남는 셈이다.

서울을 제외한 지역은 올해 331개 대학 중 146곳(44.1%)만 명맥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됐다.

전체 17개 시도 중 대학 생존율이 75% 이상인 곳은 서울(81.5%)과 세종(75.0%)뿐이었다.

반면 강원(43.5%), 대전(41.2%), 경북(37.1%), 부산(30.4%), 전북(30.0%) 등은 50%를 밑돌았다.

경남(21.7%), 울산(20.0%), 전남(19.0%) 등은 5개 대학 중 1곳 정도만 살아남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지역별 출생아 수와 초·중·고등학교 학령인구 증감률, 대학별 신입생 충원율 등을 추산해본 결과 2027년부터 출생아의 약 48%가, 2042년∼2046년에는 약 49%가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태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2037∼2041년 서울·경기를 제외한 지방에서 초·중·고 학령인구가 급감하고, 2042년부터는 대학생 학령인구가 영향을 받아 지방 대학들이 생존 위기에 봉착한다는 것이다.

해당 연구를 담당한 이동규 동아대 기업재난관리학과 교수는 "학생 수가 감소하면 등록금 수입이 감소하고, 정규직 교직원을 채용할 수 없어 비정규직이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방 대학의 교육의 질이 떨어지고 수도권과의 격차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대학 격차에 따른 인구 유출이 지역 간 청년세대 갈등의 씨앗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수도권 청년들은 다른 지역에 비해 갈수록 많은 세금을 부담하게 되고, 인구 유출로 지방세 수입이 줄어드는 지역들의 수도권 의존도는 높아지기 때문이다.

포럼 책임자인 김석호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는 "인구와 자본, 산업의 수도권 편중에 대한 조정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청년이 지방에 살더라도 충분한 삶의 질을 향유할 수 있는 조건이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며 "산업과 일자리를 공급해주면 된다는 기성세대의 안이한 인식을 버리고 청년 스스로 실험적인 삶을 만들어 갈 수 있는 판을 깔아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176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