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제주, 숲이 미래다 15] 5.가로수 조성·관리 이대로 좋은가 (4)재구조화가 필요하다

왕벚나무 가로수 토종 불명확제주 자생으로 단계적 교체를이국적 정취 상징 워싱턴야자사고 우려 등으로 도심서 퇴출지역색 반영·기후변화 등 대비다각도 조성전략 마련해 나가야 제주는 왕벚나무의 원산지로 알려졌다. 세…

[청정제주, 숲이 미래다 14] 5.가로수 조성·관리 이대로 좋은가 (3)나무를 해치는 가지치기

공공청사 나무들 ‘강전정’ 당해벌목 수준 가지치기 금지해야제주도 가이드라인 조차 없어조례 등 법제화 작업 서둘러야공동주택단지 관리 사각지대공공재로서 공적 관리 필요 가로수는 해마다 봄과 가을에 다이어트를 한…

[청정제주, 숲이 미래다 13] 5. 가로수 조성·관리 이대로 좋은가 (2)병해충에 사라지는 나무들

1970년대 심은 신대로 담팔수병원균 감염돼 수십 그루 싹둑왕벚나무 등 병해충에 위협공공·민간부문 수목까지 포함주기적 실태 점검·관리 필요 이상 기온 등 기후변화는 식물의 개화시기를 비롯 생태계에 다양한 영향을 끼…

[청정제주, 숲이 미래다 12] 5. 가로수 조성·관리 이대로 좋은가 (1)자동차 우선주의 정책

도내 가로수 일주도로의 4배도시 첫 인상 좌우·생태계 유지애써 가꾼 나무 차량 위해 없애타지방은 걷고싶은 도시 추진보행자 중심 정책 장기적 고민을 가로수(가로숲)는 도시의 첫 인상을 좌우하는 요소 중의 하나다. 도시 …

[청정제주, 숲이 미래다 11] 4.도시숲을 말하다 (6)민간 참여 활성화와 조례 제정

타 지방 민간·기업 참여 활발제주는 저조…공기업 등 외면지난 6월 도시숲법 시행 따라도, 관련 조례 제정 과제로도시숲 총량제 등 내용 중요 제주도는 전체 산림면적(8만22㏊)의 절반 정도가 조림으로 이뤄졌다. 지난 1974년부…

[청정제주, 숲이 미래다 10] 4. 도시숲을 말하다 (5)도시바람길숲 조성 어떻게

실험결과 한라산서 생성된 찬 공기2시간이면 하천 통해 도심까지 도달미세먼지·열섬현상 완화 효과 기대양 행정시 내년까지 200억 투입·조성도로·하천·도시숲 유기적 연결 과제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이기도 한 한라산은 생…

[청정제주, 숲이 미래다 9] 4. 도시숲을 말하다 (4)녹색 없는 도시재생

생활권 도시숲 등 신도심에 편중제주시 원도심 지역과는 큰 차이삶의 질 향상과 직결된 사안에도도시재생사업에서 관련 정책 없어 도시는 살아있는 유기체다. 과거에는 전쟁이나 전염병 같은 요인이 도시의 흥망성쇠에 큰 영…

[청정제주, 숲이 미래다 8] 4. 도시숲을 말하다 (3)생활권 숲을 늘리자

대규모보단 자투리 공간 활용을‘그늘막’ 대신 ‘그늘목’으로 대체녹지공간 네트워크화 등 중요 국내 첫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화산섬 제주도는 대표적인 청정지역으로 손꼽힌다. 한라산의 원시림과 곳곳에 솟아있는 3…

[청정 제주, 숲이 미래다 7] 4.도시숲을 말하다 (2)조성 성과와 한계

1인당 도시림 면적 전국 2위도심 녹색띠 형성·경관 연출조성 성과에 대한 진단 통해향후 개선점 모색해 나가야 본격 무더위가 시작된 가운데 제주도를 비롯한 한반도가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다. 특히 열대야는 제주지역이 전…

[청정 제주, 숲이 미래다 6] 4. 도시숲을 말하다 (1)악화하는 환경과 도시숲

제주도 2008년부터 조성 시작양적 확대에만 치중 벗어나유기적 연결성 확보해 나가야 인류는 진화 자체가 기후와 환경에 적응해온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는 종은 도태되기 마련이다.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

[청정 제주, 숲이 미래다 5] 3. 조림정책 실태와 방향 (하)건강한 숲을 위해

나무심기에만 치중… 지역산림실태·특성 연구 소홀숲 건강성 유지와 지속가능산림경영 위해 가꾸기 중요 제주도에서 근대적 의미의 조림의 역사는 100년이 됐다. 일제강점기 당시 조림 정책은 식민지 경영과 산림자원 수탈을…

[청정 제주, 숲이 미래다 4] 3. 조림정책 실태와 방향 (중)탄소중립과 제주 실천계획은

도 2050 맞춰 나무심기 등다양한 저탄소 사업 전개신규 조림 갈수록 힘들어대체 조림 체계적 접근을 2050탄소중립을 위한 30억 그루 나무심기 계획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탄소중립은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대책을 통…

[청정 제주, 숲이 미래다 3] 3. 조림정책 실태와 방향

(상) 숲 가꾸기 소홀 자원화 한계 나무심기와 숲 가꾸기 등 조림정책은 시대적 여건이나 환경에 따라 흐름을 달리해왔다. 제주도 초기 나무심기 정책은 일제강점기에 훼손된 산림을 복구하는 것이 우선적 과제였다. 이러한 기…

[청정 제주, 숲이 미래다 2] 2. 줄어드는 산림

전국 임야면적 63% 속 제주도는 48%에 머물러평균 임목축적비율도 제주 ㏊당 9㎥ 정도 낮아지속 조림도 한계… 개발 위주 패러다임 바꿔야 인간에게는 숲, 자연을 좋아하는 DNA가 있다고 한다. 원시 인류에서부터 현생 인류에 이…

[청정 제주, 숲이 미래다 1] 1. 프롤로그

갈 곳 잃은 사람들 숲에서 치유… 청정 제주 부각팬데믹·기후변화 대비 숲에 대한 투자·관심 중요제주도, 산림분야 확대·도시바람길숲 조성 등 추진 4월의 제주섬은 푸르른 신록이 절정을 향해 치닫는 시기다. 한라산 고지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