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제주시가 교통 혼잡 지역에 불법 주정차 단속 CCTV를 꾸준히 늘리고 있는 가운데 위반 행위 신고 사례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제주시에 따르면 현재 제주시 관내에 설치된 불법 주정차 단속 카메라는 …
[한라일보] 제주시지역 일방통행로가 늘어날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강병삼 제주시장이 교통 흐름 개선 효과 등을 들며 일방통행로 조성 확대를 주문했기 때문이다. 14일 제주시에 따르면 현재 지정된 관내 일방통행로는 4개 블…
[한라일보] 제주시에서는 2023년 동계 대학생 아르바이트생 230명을 모집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공고일인 12월 16일 기준 본인 또는 부모가 제주시에 주소를 두고 있는 도내외 대학 재(휴)학생을 대상으로 한다. 다만 2022…
[한라일보] 민간과 협력한 제주시의 자원순환 정책이 전국에서 통했다. 제주시는 '2022년 재활용가능자원 분리배출 모범시설 공모전'에서 기초자치단체 부문 우수상을 수상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날 시상식이 진행된 이번 공모…
[한라일보] 제주시는 올 한 해 지목 불일치 토지 32필지에 대한 지적 정리를 완료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제주시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관내 농지·산지·초지 전용, 개발행위허가, 사용승인 등으로 토지 용도가 변경됐으나 지…
[한라일보] 제주지역 경주마 시장 상황이 코로나19 이전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제주시 조천읍 교래리에 있는 한국경주마생산자협회 경매장의 11월 말 기준 낙찰률이 39.8%를 보이는 등 2018~2019년의 수치를 넘…
[한라일보] 제주시지역 길고양이 중성화(TNR) 숫자가 5년 새 3배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TNR은 포획(Trap), 중성화(Neuter), 방사(Return)를 뜻하는 영문 머리글자를 딴 용어다. 길고양이 개체 수를 조절하고 발정이나 영역 다툼…
[한라일보] 제주시 용강동 동부공설묘지 자연장지 전환 공사가 마무리돼 '용강별숲공원'이란 이름으로 이달부터 본격 운영되고 있다. 12일 제주시에 따르면 이번 공사는 2012년 4월 개장한 자연장지인 어승생 한울누리공원 포화 …
[한라일보]제주시가 하반기 여행업 현장 지도·점검 결과 보험 미가입 등 26건의 위반 사항이 적발됐다. 9일 제주시에 따르면 이번 점검은 지난 9월 26일부터 11월 30일까지 영업보증보험 가입 기간 만료 시기가 도래한 관내 여행…
[한라일보] 제주시 노형동에 청소년문화의집이 문을 연다. 이달 9일 개관하는 노형청소년문화의집이다. 노형제2근린공원 1만819.4㎡ 부지에 연면적 998.11㎡,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지어진 노형청소년문화의집은 지역 청소년…
[한라일보] 공공체육시설인 제주종합경기장 애향운동장 부근에 들어선 이른바 '애향 노인 쉼터'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이곳을 이용하는 노인들이 시설 증축 등을 바라고 있지만 당초 허가나 신고가 이뤄지지 않은 채 운영해…
[한라일보] 제주시가 고산동산 도로 열선 시범 설치에 이어 도남로와 고마로까지 운영을 확대하면서 올겨울 주요 도로 제설 대책이 효과를 볼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5일 제주시에 따르면 지난 11월 말 도로 열선 설치가 완료된 …
[한라일보] 제주시 정보화지원과에 근무하는 김영대 주무관이 행정안전부에서 수여하는 제12회 '지방행정의 달인'에 선정됐다. 5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지방행정의 달인'상을 수상한 김영대 주무관은 시민들…
[한라일보] 1960~70년대 제주시 원도심을 기억하는 사람들에게 그곳은 "멋과 낭만의 신문화가 들어오고, 유행하고, 퍼져가는 발상지"였다. 온갖 물자와 사람이 몰려들던 원도심의 명성을 되살릴 수는 없을까. 제주시가 상권 활성…
제주시 10년간 600만 그루 나무 심는다
제주시 '교통사고 잦은 곳' 연삼로~건주로 교차…
제주시 애월읍 장전리 왕벚꽃축제 구간 22~27일 …
제주시 친환경농업 직불금 4월 말까지 신청 접수
제주 '섬 속의 섬' 우도에 폐기물 매립 시설 새로…
"돈 되는 폐식용유"… 제주시 무상 수거 사라진…
제주시 절물휴양림에 원격제어 산불 소화 시설
제주시 2023년 제1회 공무직 8개 직종 30명 채용
제주 '착한가격업소' 부서평가 반영에도 공무원 …
제주시 온라인 청년 채널 '반짝 소통' 넘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