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엄을 외쳐요(김은하 글·윤예지 그림)=전 세계에 만연한 인권 침탈을 반성하고, 모든 인간은 동등하게 자유와 평등을 누릴 권리가 있음을 30개 조항으로 제시한 세계인권선언. 책은 세계인권선언 30개 조항을 어린이부터 성…
▶겨울 삽화=한기팔 시인의 열 번째 시집 '겨울 삽화'가 최근 발간됐다. 꾸준히 시집을 묶어 펴낸 시인은 "내 삶의 현장의 것들"이라고 말한다. 황금알 시인선(261)으로 출간된 이번 시집도 그렇다. 시집엔 크게 5부로 나뉘어 표…
책 '이 와중에 스무 살'은 한창 성장통을 앓고 있는 청소년부터 불안과 혼란으로 가득했던 이십대의 기억을 생생히 간직하고 있는 성인까지 두루 공감하며 읽을 수 있는 성장소설이다. 대학에 진학하고 나서야 자신이 어떤 사…
뇌과학자 정재승 교수가 추천하는 인간을 이해하는 12가지 인지적 키워드를 통해 차원이 다른 새로운 신화 읽기를 제안하는 시리즈 '그리스·로마 신화' 9권의 키워드는 '용기'다. 각 권마다 추천사 집필과 키워드를 제시하는 정…
▶빗창(권형백 지음)=권형백의 장편소설이다. '빗창'은 제주 해녀들이 '물질'에 사용하는 가장 중요한 도구이다. 목숨을 담보로 가족의 삶을 일구기 위해 제주 여인들이 소중이(물질할 때 입었던 옷) 허리춤에 매고 바닷물 속을 …
[한라일보] "어떤 상황에서 완벽하게 옳은 질문이 다른 상황에서는 완벽하게 잘못된 질문이 될 수도 있다."(들어가는 말 중) '삶을 바꾸는 질문의 기술'(동양북스 펴냄)의 저자 네덜란드의 젊은 철학자 엘커 비스는 "질문하는 자…
[한라일보] 전 세계 유명 건축물에 대한 지식과 숨은 이야기가 한 권의 책에 담겼다. '건축가가 사랑한 최고의 건축물'(크레파스북 펴냄)의 저자 양용기 교수는 책에 수록할 건축물을 선별하는 과정에서 사회 변화에 영향을 준 …
[한라일보] 김병심 시인이 최근 6편의 단편을 모아 첫 소설집 '제주 비바리'를 펴냈다. "나에게는 글을 쓰게 만든 섬이 있었다"라는 한 줄의 작가의 말처럼, 저자에게 섬은 창작의 원천이자 존재의 집이며 현실과 작품 모두에 있…
[한라일보] 수행하듯 올레길을 두루 누볐던 김선화 작가의 신작 산행 에세이 '함께 오를래요?'(한그루 펴냄)가 최근 발간됐다. 이번엔 한라산이다. 코로나19로 다니던 체육관이 폐쇄되자 답답한 마음에 산을 오른 게 시작이었다.…
▶동네책방 분투기(박태숙·강미 지음)=역세권보다 책세권! 울주군 두동면 만화리에 위치한 시골 책방 '책방카페 바이허니'의 설립부터 성장 과정을 고스란히 담은 동네책방 이야기이다. 역세권 없는 시골 동네에서 역세권이 부…
●특종! 생명과학 뉴스 현직 중·고등학교 생물 교사인 저자는 수업 시간에 미처 못다 한, 전하지 못해 아쉬웠던 생생한 '삶의 과학'을 좀 더 깊이 있게 들려주려 한다. 코로나19 백신, 냉동 인간, 노화 치료, 지구온난화 등 과학 …
[한라일보] 이번엔 분청사기 여행이다. '일상이 고고학' 시리즈를 통해 박물관의 문턱을 낮춰온 황윤 작가는 책 '일상이 고고학, 나 혼자 분청사기 여행'(책읽는고양이 펴냄)에서 고려청자와 조선백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목받…
▶커피 한 잔의 긍정사색(김순규 지음)=커피를 마실 때 잠깐씩 긍정사색을 하는 습관을 길들이면 그것은 인생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온다. 나의 건강, 행복, 성공에 대해 긍정적으로 사색한다면 결국 나의 인생에 큰 변화가 올 수…
[한라일보] "정신 건강에 관한 전문가들은 코로나바이러스가 가져온 정신적인 황폐함이 우리에게 긴 후유증을 남길 것이라고 경고한다. 이렇듯 정신 건강이 중요하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졌지만, 우리가 '정신 건강'에 대해 진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