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13] 2부 한라산-(9)두무악은 무슨 뜻인가?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13] 2부 한라산-(9)두무악은 무슨 뜻인가?
'두무악' 둘러싼 새로운 해석 시도에도 의문 풀리지 않아
  • 입력 : 2022. 09.27(화) 00:00
  • 최다훈 기자 orca@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두무는 '둥글다'라는 뜻일까?


여기서 또 한 가지 더 생각해 볼 문제가 있다. 한라산과 두무악이라는 이 두 이름을 별개로 썼다고도 할 수 있지만, 조합으로 썼다고도 추정할 여지가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왜 이렇게 16세기 초부터 19세기에 걸쳐 장기간 '한라산을 두무악이라고도 한다'고 기록했을까 하는 것이다. 원래 사물의 명칭이 여러 가지일 경우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대부분 다 떨어져 나가고 그중 하나만 남게 마련이다. 그게 언어 진화의 원리다. 예컨대 '제줏말'이라는 단어와 '제주어'라는 단어를 일정 기간 같이 쓰다가도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르면 그중 하나는 퇴출해버린다. 기억하기 어렵거나 효과가 없기 때문이 아니라 사람들이 우연히 어느 하나를 더 자주 사용하기 때문이다.

한라산 정상 백록담 전경.

이 경우 그중 하나는 표류의 과정을 거치다가 소멸한다고 표현한다. 생물학적으로 볼 때 '부동' 상태인 것이다. 사실 지금은 '한라산'이라는 말이 완전히 고정되어 그 외의 명칭은 상상하기 어렵지만, 여기에 도달할 때까지 수많은 명칭이 '부동'의 과정을 거쳤다. 그런데 되돌아보면 거의 400년간이나 같은 산의 이름으로 두무악과 한라산 두 가지를 같이 사용했다는 것은 그 '부동' 상태가 지나치게 길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만약 '두무 한라산' 혹은 '한라 두무악'이라고 썼다면 장기간 유지될 수 있지 않을까. 이 경우 산 이름은 석 자로 쓴다는 관념에 익숙한 사람은 이 말이 두 개의 이름을 연이어 쓰는 것으로 들릴 수 있을 것이다.

또 한 가지 이상한 점은 봉우리마다 움푹 패거나 평평하다고 하면서 왜 두무악이라고 하는 이상한 지명을 한라산에만 적용했을까 하는 점이다. 지금까지도 이런 의미로 두무악이라고 하는 지명은 한라산을 제외하면 없다. 이건 미스터리라고 아니할 수 없는 것이다. 왜 그간 관찬이건 개인 문집이건 우리의 언어습관과 동떨어진 두무악이라는 말을 아무 의심 없이 그대로 따라 쓰면서 그게 이상하다는 생각조차 표현하지 않았을까.



한자식 아닌 음을 그대로 적은 것


금세기 중반에 들면서 이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기 시작했다. 양주동은 ‘고가연구’에서 '제주도’의 원칭 ‘탐라’는 ‘둠나+ㅣ’, 한라산의 원명 ‘두무악’(원산)에 의한 명칭'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이 내용을 인용하여 두무는 원의 뜻을 가진 말로 '둠'으로 읽었으며, 악은 산의 뜻을 가진 말로, '뫼'로 읽었다고 설명한 논문이 있다.

이런 내용은 북한의 국어학자 류렬도 두무를 '두무/두모(tumo/tomo)'의 음차표기로 보고, '둥글다'는 뜻이라고 하는 등 여러 학자가 그대로 수용했다는 것이다. 예컨대 어떤 학자는 원산이란 둥근 산의 한자 표기이고, 두무악은 둠뫼를 이두식으로 표기한 것이며, 두미의 한자표기인 두모(頭毛)도 두무와 같은 표기라고 했다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결론적으로 두무악을 일부에서 한자식으로 해석하여 머리가 없는 산'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억지 해석이라는 것이다. 여러 고전의 기록에는 대체로 '두무악 즉, 원산'으로서 '둠뫼' 정도로 읽고, '둥근 산'의 뜻이라고 했다. 그러나 위의 인용 논문은 이에 유사하지만 일치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두ㅤ믜ㅤ오롬'으로 읽고 형체가 '두멍'을 닮은 산으로 본다는 주장이다.

여기에서는 두무악이라는 이름이 한자식이 아니라 음차라고 본 점이 이전의 고전과 다른 시각이다. 이것은 양주동, 류렬과 궤를 같이하는 것으로 수백 년 내려온 '머리가 없는 산'이라는 설명에서 벗어나는 관점으로 주목된다. 그러나 여기에서도 의문은 남는다. 한라산의 어느 부분이 둥글다는 것인가? 아마도 한라산 정상 분화구를 가상하는 것으로 읽히지만 이런 분화구는 한라산 정상만 있는 것이 아니다. 왜 제주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두멍'이라는 물건의 이름을 사용했는가. 두무악의 '두무'는 음차인데 원산의 원(圓)은 음차가 아니라 훈차로 보아 ‘둠’으로 읽고 둥글다고 해석했는데, 제주도에서 둥근 떡을 ‘달레떡’이라 하지 ‘두미떡’이라 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원산(圓山)을 ‘달마+ㅣ'라고 하면 안 되는가. 둠이나 달이라는 말에는 둥글다는 뜻 외엔 없는가 하는 의문이 남는 것이다.



외부인이 받아 적은 '두무'


또 한 가지 가정해 볼 수 있는 것은 한라산이라고 부르는 집단, 두무악이라고 부르는 집단이 따로 있었다면 그럴 수도 있다. 예컨대 어느 한때 우리나라에서 장기간 백두산을 장백산으로도 쓰거나 같이 쓴 때가 있었다. 그러나 이제는 장백산이 부동의 상태에서 퇴출돼 쓰지 않는다. 그런데 중국에선 장백산이라는 명칭을 쓰고 있다.

즉, 같은 산을 백두산이라고 쓰는 집단과 장백산이라고 쓰는 집단의 세력이 팽팽하여 지금은 서로 각자의 이름을 부르는 것이다. 두 집단 중 한 집단이 소멸하지 않는 한 백두산과 장백산은 상당 기간 존속할 것이다. 이처럼 한라산이라고 부르는 집단과 두무악이라고 부르는 집단이 따로 있었을까?

'두무'라는 말이 음차가 아닐까? 제주도 사람들이 '두무'라고 하니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었고, 기왕에 그렇게 적을 바엔 가능한 어울릴만한 글자를 골라 적은 게 아닐까? 그렇게 되면 '두무'라는 말을 받아적는 사람에 따라 두무(頭無), 두모(頭毛), 두모(豆毛), 둠(圓)으로 쓸 수밖에 없는 것 아닌가. 이런 경우 여기에 사용한 한자는 뜻이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두무'가 무엇일까? 왜 한결같이 T+M의 구조로 되었을까? 육지 사람들이 알아들을 수 없었던 이 '두무'의 정체가 궁금하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3074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