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물 부족, 모두의 실천으로 극복해야
2022-09-29 14:44
|
|||
---|---|---|---|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원고운 (Homepage : http://)
|
|||
제주의 강수량은 우리나라 최다지역이다. 하지만 강수량이 많다고 하여 물 자원이 풍부하다는 것은 아니다. 제주의 경우 지역별 강수량 편차가 심하고 여름에 집중되어 있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강우량 부족으로 여름철 무(無) 강우일수가 증가하기도 했으며 물 저장 시설 부족 · 지형적 특성 때문에 대부분 해양으로 빠져나간다. 타 시도와 달리 식수원의 약 90%가 넘는 양을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으나 각종 개발 사업 증가로 비를 흡수하는 면적인 불투수 면적이 증가하여 지하에 함양되는 물의 양이 감소하고 있다. 인구 증가라는 인위적 요인과 중 심 문제인 개발 사업 증가로 제주는 물 관리 부족이라는 어려움에 직면한 것이다. 물 부족 문제 극복을 위해서는 제도를 바꿔야 한다. 첫째, 지하수 사용을 최소화하는 물 정책이다. 빗물 일정량의 저장 및 사용을 의무화하고 사용량에 따른 차등적 혜택을 제공하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신축 건축물에 ‘빗물이용시설 설치’를 지원하여 빗물 재이용률을 높일 수 있다. 둘째, 도민을 위한 깨끗한 물 공급과 안정적 하수처리를 위해 지하수 의존 처리형태에서 하수 재처리, 유출 지하수로 전환하는 것이다. 노후정수장 정비와 노후시설 개선, 하·폐수처리장 증설 및 현대화 사업의 추진, 방류 수질 기준을 강화해 물 순환으로 나아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불투수 면의 확대를 억제하고 물 순환 구조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개발 사업 및 건축물의 불투수 면적의 상한선을 설정해 관리 및 요금을 부과하는 방법도 있다. 제주 지하수 보존을 위해서는 도민의 적극적인 참여도 필요하다. 일상생활에서 물을 아껴 쓰는 생활 습관의 정착을 위해 양치 컵을 사용하거나 절수 기능의 샤워기 꼭지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외에 설거지통을 사용하거나 샤워 시간의 단축, 가정에 맞는 용량의 세탁기를 사용하는 것으로도 물 절약이 가능하다. 이러한 물 부족 상황을 슬기롭게 극복하기 위해서는 물은 집에서뿐만 아니라 생활 곳곳에서 절약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밖에서 물을 필요 이상으로 쓰는 습관을 고치고, 필요한 만큼만 쓰려는 태도가 우리가 살아가는 제주의 지하수 환경을 건강하게 오랫동안 지키는 방법이므로 미래를 위해 우리 모두 물 절약에 동참하자. |
|
제주지방해양경찰청장에 한상철 경무관 취임
'혜성'처럼 나타난 구조대 정체는?… 3분 만에 익…
"지방외교 시대 앞장"… '제주선언'으로 막 내린 …
[한라일보 저녁잇슈] 2023년 6월 2일 제주뉴스
한마음병원 만성폐쇄성폐질환 적정성평가 1등급
제주 찾은 류호정 "월정리 하수처리 공사 중단하…
"음악 소리 시끄러워"… 흉기 난동 30대 검거
[제주포럼] "제주, 로켓 발사 최적지… 지리적 이…
[제주포럼] 오영훈 "글로벌 복합위기, '지방외교'…
제주 기업·대학 이을 '산학협력관' 문 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