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
2023-02-16 14:20
강평구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우리나라 한 명 당 평균 출생아 수를 의미하는 합계출산율은 21년 기준 0.81명으로, 1990년과 비교해 절반으로 떨어지는 등 매년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이를 방증하듯 올해 전국 17개 시도의 147개 초등학교 신입생이 0명이었고, 서울 모 초등학교도 곧 문을 닫는다는 소식이다. 유례없는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2025년에는 65세 노인인구가 전체의 20%를 초과하는 초고령사회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농촌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농촌에서 도시로의 인구유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정치, 행정, 교육, 일자리 등의 인프라가 서울 등 수도권에 몰려 있기 때문에 지금도 인구는 수도권으로 몰리고 있으며 젊은 사람일수록 지방을 떠나려고 한다.

젊은 사람들이 도시로 떠날수록 농어촌의 출산율 저하로 이어져 고령화까지 가속화 될 것이며 지방 소멸을 더욱 부추기게 될 것이다. 지방이 소멸된다면 지방에서 생산해서 공급해야할 원재료들은 모두 수입에 의존해야 하여 경제적 위기는 물론, 수도권 집중화도 보다 가속화되어 수도권 집값의 상승 등으로 인한 빈부 격차와 국토이용효율의 저하 등 다양한 사회, 경제적 문제 또한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우리나라 국가 경쟁력 또한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 지방이 살아야 대한민국도 살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한 해법을 이미 시행착오를 거쳐 안착한 일본의 고향세를 바탕으로 시행하고 있는 고향사랑기부제의 효과적인 운영으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2008년 지방세법 개정을 통해 일본은 고향납세제를 제도화하였으며 본인의 거주지를 포함하여 원하는 지역에 2천 엔 이상을 기부하면 소득세와 주민세 공제를 받을 수 있고 기부한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답례품을 받을 수 있다. 기부금은 지자체들의 교육, 문화, 마을 조성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고향 살리기에 큰 힘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올해 1월부터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한 고향사랑 기부제를 운영하고 있다. 온라인에서는 고향사랑e음 사이트를 통해 기부자가 선택한 방법으로 어디서든지 쉽게 기부를 할 수 있게 되어있다. 오프라인에서는 가까운 NH농협은행을 방문하면 된다. 개인이 주소지 이외의 지방자치단체에 1인당 연간 500만 원 이하 일정금액을 기부하면 10만원까지는 전액세액공제가 가능하고 초과분은 16.5%까지 가능하다. 기부금의 30%에 해당하는 기부 포인트와 답례품까지 제공 받는다. 기부금은 해당 지자체에서 기금사업으로 사용하게 된다.

고향사랑 기부제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일자리 창출, 지역 간의 격차 해소 등 다양한 산업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운 우리의 고향이 지금 어려움에 처해있다. 누구나 손쉽게 실천할 수 있는 고향사랑 기부제를 통해 지방의 소멸과 고령화를 극복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기를 기원한다.

No 제목 이름 날짜
3405 우리 아이들에게 더 나은 환경을 물려줄 수 있는 방법 “자동차 탄소중립 …  ×1 [1] 구좌읍사무소 04-27
3404 제주특별자치도일시청소년쉼터(고정형) 「2023년 제3차 연합 아웃리치」 진…  ×1 제주특별자치도일시청소년쉼터(고정형) 04-26
3403 사단법인 서귀포YWCA 청장년일자리지원프로그램 개강   ×1 서귀포YWCA 04-25
3402 제주시일시청소년쉼터(이동형) ‘버프’의 힙합동아리 청소년들, 지구의 …  ×1 제주시일시청소년쉼터(이동형) 04-24
3401 가정의 달 5월  ×1 비밀글 오조리 04-24
3400 차를 알려주는 제주도  ×1 [1] 황태성 04-24
3399 제주감귤과 제주감귤농협의 역할  ×1 오정환 04-23
3398 “아름다운 동행, 우리 함께 Sing a song”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지역주민과…  ×1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04-21
3397 (주)제이피엠 자원봉사동호회 베두리오름(삼무공원)일대 정화봉사 다녀왔…  ×1 (주)제이피엠 04-21
3396 다가오는 지구의날 ‘기후행동’ 실천하자  ×1 조호준 04-20
3395 (주)제이피엠 아름다운가게에 물품 기부  ×1 [1] (주)제이피엠 04-20
3394 숲길 걷기의 작은 에티켓  ×1 ×1 [1] 강한종 04-19
3393 장애인 인권, 이제는 진정한 실천이 필요한 때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수준 04-19
3392 제주환경을 살리고 건강을 지키는 지름길, 플로깅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조은빈 04-19
3391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산남새마을금고골프회부녀회산악회와 어르…  ×1 [2]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04-18
3390 제주관광 고부가가치화 전략 "웰니스"  ×1 ×1 고현숙 04-17
3389 제주올레길도 걷고, 클린올레도 하고  ×1 고상선 04-17
3388 방구석 작은 생태계 '테라리움'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이유라 04-16
3387 [기고] 아파트 지하주차장, 반지하주택 침수에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1 ×1 장명서 04-15
3386 우리의 일상이 된 미세먼지! 지혜롭게 대처해야  ×1 고혁준 04-14
3385 건강한서귀포시만들기  ×1 ×1 김태문 04-14
3384 사회적경제활성화 제주네트워크, 2023년 대표자회의 개최  ×1 (사)서귀포YWCA 04-12
3383 YWCA제주특별자치도협의회 여성신학아카데미 개최  ×1 (사)서귀포YWCA 04-12
3382 제12회 우도 소라축제에 놀러 오세요.  ×1 우도면 04-12
3381 사람중심 '살고 싶은 도시' 서귀포시 만들기  ×1 윤매순 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