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청년 행복 소통e, 직접 민주주의 꽃피웁니다!
2023-03-08 15:05
제주시 청년 행복 소통e(기고).hwp ( size : 59.00 KB / download : 2 )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제주시 청년 행복 소통e, 직접 민주주의 꽃피웁니다!

민주주의! 인류가 꽃피운 정치제도 가운데 가장 훌륭한 제도 중의 하나일 것입니다. 고대 그리스 아고라 광장은 개방된 소통의 장소로 오늘날 직접 민주주의를 상징하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인구 증가 등 현실적인 어려움과 사회변화로 유지하기 어려웠던 아고라 광장이 오랜 잠을 깨고 제주시에서 다시 시작됩니다. 제주시에서 형식을 타파하고 청년의 살아 있는 목소리를 듣고자 온라인 소통방을 운영합니다.

제주시 청년 행복 소통e! 제주시 행정의 리더인 강병삼 제주시장과 제주시 청년들이 터놓고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공간입니다. 제목 그대로 제주시 청년들이 행복해지기 위해서 온라인으로 소통하는 공간입니다. 일자리, 고용환경, 주거, 결혼 등 쉽지 않은 문제들에 직면해 있는 청년들. 그네들의 고민을 들어주고, 고민들을 모아 해결 방법이 있는지를 생각해 보고,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해 주어 궁극적으로는 청년들이 행복하게 삶을 살아나갈 수 있도록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방문은 언제나 활짝 열려있습니다. 누구나 익명으로 들어올 수 있고, 시간제한 없이 의견을 남길 수 있습니다. 청년의 감성으로 청년에 맞게 운영할 예정입니다. 운영과 관련하여 잘못을 지적해 주거나 새로운 조언은 언제나 감사합니다. 마지막으로 이 땅의 청년들에게 이렇게 말하고 싶습니다. 여러분들은 지금 당장 행복해야 합니다! 방으로 오셔서 터놓고 얘기해 주세요!

※ 접속방법 : 카카오톡 오픈채팅 – 제주시 청년 행복 소통e(검색 및 입장)


제주시 청년지원팀장 이명기

No 제목 이름 날짜
N (사)제주YWCA,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저지 긴급행동’참여  ×2 진애령 04-07
N 제주시여자단기청소년쉼터, 홈커밍데이 개최  ×1 제주시여자단기청소년쉼터 04-05
N (사)제주YWCA 디지털성범죄특화상담소, 통합상담소 3·8 여성의날 맞이 캠페…  ×2 진애령 03-07
N ‘그린워싱’주의하세요! -올바른 친환경 인증 마크를 확인하자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고민희 09-26
3452 장애인 인권, 이제는 진정한 실천이 필요할 때  ×1 제주대학교 4학년 김수준 06-05
3451 고향사랑기부제를 아시나요?  ×1 김형배 06-04
3450 기고문  ×1 ×1 비밀글 양성준 06-02
3449 자율방범대의 위상과 역할  ×1 ×1 양대석 06-02
3448 현충일을 맞이하여 태극기 올바르게 게양하자  ×1 송현서 06-01
3447 6월 호국보훈의 달을 맞이하여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김아름 06-01
3446 시각장애인의 삶을 위한 행동 제주여고 2학년 수리공의 일기 인권조 05-31
3445 아동의 행복은 우리 모두의 관심으로부터 비밀글 김혜빈 05-30
3444 바다의 날을 아시나요!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조윤아 05-27
3443 바다의 날을 맞아, 우리가 지켜야 할 바다의 보물: 고래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형배 05-27
3442 기고문  ×1 비밀글 고기봉 05-26
3441 불법행위 신고포상제 기고문  ×1 비밀글 박창형 05-25
3440 사회적경제활성화 제주네트워크, 2023년 바이소셜캠페인 및 교육 진행  ×1 서귀포YWCA 05-23
3439 [기고] 농업분야 대중스타 발굴해야  ×1 비밀글 전명환 05-23
3438 마가보감-대한민국 1%에서만 나는 귀한 약재를 하루 1포에~ 유익한 05-23
3437 2023년 평화통일공감대 확산을 위한 청소년 평화통일교육 개최  ×1 서귀포YWCA 05-22
3436 [기고] 체험형 스마트팜으로 지친농촌에 활력을!  ×1 비밀글 농협경주교육원 한성민 교수 05-22
3435 (사)제주YWCA,‘윤석열 정부 여성가족부 1년 전국 동시 기자회견’참여, “여…  ×2 진애령 05-18
3434 제이피엠 자원봉사동호회 베두리오름(삼무공원)일대 두번째 봉사 다녀왔…  ×1 (주)제이피엠 05-18
3433 [기고]비상구 폐쇄 등 위반행위 신고포상제를 아시나요?  ×1 ×1 우도지역대 05-18
3432 편리하고자 사용했던 일회용품, 환경파괴의 원인. 제주대학교 행정학과(야) 김채린 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