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카본의 흡수원, 염생식물을 주목하자
2023-03-22 21:40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강미선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해마다 점점 심해지고 있는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생태계는 지금도 열심히 자정작용을 하고 있다. 울창한 숲이나 나무들뿐만 아니라 갯벌이나 염습지의 퇴적물, 잘피와 같은 해초류나 염생식물도 탄소를 흡수하여 지구온난화를 막아주고 있다. 이것을 해양생태계의 탄소흡수원인 ‘블루카본(blue carbon)’이라고 하는데 여기서 ‘해초류’나 ‘해조류’는 우리에게 익숙하지만, ‘염생식물’은 꽤 낯설게 느껴진다.

염생식물은 일반식물과 달리 염분 함량이 높은 곳에서 서식하는 식물로 해안선을 따라 형성된 해안 염습지나 해안사구에 분포한다. 특히 제주에는 바다와 육지 경계에 사구가 위치해 문주란, 순비기나무, 갯대추, 황근 등 다양한 염생식물 생태계가 자생하고 있다.

이러한 염생식물은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지나 은신처 역할, 해안선 침식 방지, 육지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정화 등 생태적인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다채로운 색깔로 아름다운 해안 경관 조성에도 많은 역할을 하고 있으며, 온실가스 저감과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생태계를 안정화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염생식물은 오랜 세월에 걸쳐 바닷가라는 독특한 환경에 적응해왔지만, 현재는 각종 해안 개발 때문에 서식지가 파괴되어 설 곳을 잃고 있다. 해안사구 위로 주차장, 건물, 도로, 체육시설이 들어서면서 사람들의 발길로 훼손된 염생식물들을 확인할 수 있다.

염생식물은 그 자체만으로도 높은 가치를 지녔지만, 탄소를 흡수하고 해양생태계의 안정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선물’ 같은 자원이다. 그저 작은 바닷가의 잡초로만 인식될 것이 아니라 생태적 중요성과 가치를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염생식물과 분포지역인 사구에 대한 과학적인 조사와 연구를 시행하고 훼손되는 염생식물 생태계에 대한 보전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의 소중한 자원이자 탄소중립의 중요한 대안인 염생식물에 대해 우리 모두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한 때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N (사)제주YWCA,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저지 긴급행동’참여  ×2 진애령 04-07
N 제주시여자단기청소년쉼터, 홈커밍데이 개최  ×1 제주시여자단기청소년쉼터 04-05
N (사)제주YWCA 디지털성범죄특화상담소, 통합상담소 3·8 여성의날 맞이 캠페…  ×2 진애령 03-07
N ‘그린워싱’주의하세요! -올바른 친환경 인증 마크를 확인하자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고민희 09-26
3451 고향사랑기부제를 아시나요?  ×1 김형배 06-04
3450 기고문  ×1 ×1 비밀글 양성준 06-02
3449 자율방범대의 위상과 역할  ×1 ×1 양대석 06-02
3448 현충일을 맞이하여 태극기 올바르게 게양하자  ×1 송현서 06-01
3447 6월 호국보훈의 달을 맞이하여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김아름 06-01
3446 시각장애인의 삶을 위한 행동 제주여고 2학년 수리공의 일기 인권조 05-31
3445 아동의 행복은 우리 모두의 관심으로부터 비밀글 김혜빈 05-30
3444 바다의 날을 아시나요!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조윤아 05-27
3443 바다의 날을 맞아, 우리가 지켜야 할 바다의 보물: 고래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형배 05-27
3442 기고문  ×1 비밀글 고기봉 05-26
3441 불법행위 신고포상제 기고문  ×1 비밀글 박창형 05-25
3440 사회적경제활성화 제주네트워크, 2023년 바이소셜캠페인 및 교육 진행  ×1 서귀포YWCA 05-23
3439 [기고] 농업분야 대중스타 발굴해야  ×1 비밀글 전명환 05-23
3438 마가보감-대한민국 1%에서만 나는 귀한 약재를 하루 1포에~ 유익한 05-23
3437 2023년 평화통일공감대 확산을 위한 청소년 평화통일교육 개최  ×1 서귀포YWCA 05-22
3436 [기고] 체험형 스마트팜으로 지친농촌에 활력을!  ×1 비밀글 농협경주교육원 한성민 교수 05-22
3435 (사)제주YWCA,‘윤석열 정부 여성가족부 1년 전국 동시 기자회견’참여, “여…  ×2 진애령 05-18
3434 제이피엠 자원봉사동호회 베두리오름(삼무공원)일대 두번째 봉사 다녀왔…  ×1 (주)제이피엠 05-18
3433 [기고]비상구 폐쇄 등 위반행위 신고포상제를 아시나요?  ×1 ×1 우도지역대 05-18
3432 편리하고자 사용했던 일회용품, 환경파괴의 원인. 제주대학교 행정학과(야) 김채린 05-17
3431 제주장애인자립생활센터 2023년 상반기 찾아가는 추자도 보장구 수리지원 …  ×1 제주장애인자립생활센터 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