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인권, 이제는 진정한 실천이 필요한 때
2023-04-19 13:27
|
|||
---|---|---|---|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수준 (Homepage : http://)
|
|||
특히 지역사회 삶(community living) 지원이 활발히 이뤄져야 한다. 우선 (탈시설) 장애인의 삶의 주도성(self-direction, 자립) 회복을 위해서는 장애인의 소비자성 회복이 필요하다(Dejong, 1979). 이를 위해서는 모든 활동에서 수혜자나 대상자가 아니라, 선택권이 있는 소비자로 대우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일상적 활동 증가를 위해서는 물리적 구조의 변화와 더불어 물리적 구조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경우에 대비한 인적 지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우선 주변 사회의 구조적, 문화적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신체적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뿐만 아니라, 발달장애인을 위한 시각적 의사소통 방식의 보편화와 같은 편의시설도 필요하다. 또한 의사결정 지원에 대한 구조를 만들 필요가 있다. 발달장애인의 일상생활 활동 지원을 위한 주간활동(good day) 의 활성화도 필요하다. 그리고 사회관계 회복, 즉 지역사회와의 연결 확보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지역사회와 장애인을 다시 연결할 수 있는 시민옹호사업 등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영역의 지원이 필요하다. 우선 거주공간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사회주택, 민간임대주택, 주거급여 등에 대한 연계가 필요하다. 중요한 것은 연구에만 끝나는 게 아니라 실질적으로 장애인들의 삶의 질이 높아질 수 있도록 현실에 맞게 적용해나가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래야 우리나라도 진정으로 장애인들이 살기 좋은 선진국으로 등극할 수 있을 것이다. |
|
[현장] "부지에 유적터…" 목 관아 관리센터 꼭 지어야 하나
"'남중·여중→남녀공학' 전환 필요" 도민 의견 과반 못 미쳐
서귀포 동홍 공영주차빌딩 주차면 줄이고 휴게 공간 만든다
소방가족도, 동료들도 눈물…순직 故 임성철 소방장 조문 행…
제주시 노인일자리·사회활동 지원 참여자 모집
'카지노 강력범죄'에 경찰, 특단 조치… "구속 수사 원칙"
"늘어나는 외래종, 제주 생태계 위협… 연구·투자 절실"
제28회 농업인의 날 기념대회 개최… '농업인상' 시상
제주Utd 올 시즌 마지막 경기 수원FC와 1-1 무승부
내년 설 대목 앞둬 온라인몰 '서귀포in정' 입점 업체 공모
제주도 세계도시연맹과 기후위기 공동 대응 선…
2023 제주도문화상 수상자 7개 부문 9명 최종 선정
서귀포서 몰래 버리던 대형 폐기물 도로변 배출…
제주 서귀포 해상서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하늘…
국내 기술 고체 연료 우주발사체 4일 제주해상 …
다가온 겨울, 마음이 따뜻해지는 노래 선물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교육 방향 탐구"
서귀포시 동부 집중 호우 농작물 피해 복구비 8…
2023 제3차가족스포츠캠프 참가 가족 모집
제주 자생식물 '까마귀쪽나무 열매' 근감소증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