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라TV
제6회 하논분화구 복원·보전 국제심포지엄 개최
"하논분화구 복원 제주도 관심 부족"
"행정시 권한 한계로 답보…道가 추진주체 돼야"
김희동천 기자 heedongcheon@gmail.com
입력 : 2014. 12.14. 15:39:49


한반도 유일의 마르(Maar)형 분화구인 하논부화구의 복원 필요성과 국제 공조방안, 복원에 따른 추진과제 등 후속대책을 모색하기 위한 국제심포지엄이 12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이번 심포지엄은 하논분화구 복원·보전사업의 중요성과 하논분화구의 가치 재발견, 복원을 위한 추진 방향 등을 논의하기 위해 열렸으며, 한국과 일본, 중국 등 국내·외 관련 전문가들이 참석해 주제발표와 토론을 벌였다.

이날 '하논분화구 복원 추진과제'를 주제로 발표에 나선 김은식 세계생태학회 사무총장(국민대교수)은 복원 추진사업이 그동안 성과에도 불구하고 답보상태인 점을 지적하며 추진주체 변경 등을 제안했다.

김 사무총장은 "제주특별자치도의 통제를 받는 행정시의 한계로 인해 하논추진사업에 대한 권한이 없다"며 "이로 인해 정책추진의 한계, 전담조직 구성의 한계, 관계기관과의 연계 및 대중앙절충의 한계, 추진예산 확보 문제, IUCN 등 국제사회의와의 긴밀한 업무협조 및 네트워크 구축 등 국제 공조의 한계 등에 직면하게 됐다"고 꼬집었다. 그는 "하논분화구 복원추진사업을 실질적으로 이끌어야 할 주체는 제주특별자치도인데, 하논분화구의 가치와 복원 필요성에 대한 제주도정의 관심과 이해는 기대 밖"이라며 "관계 공무원의 전문성 부재, 핵심프로젝트에 대한 이해 부족, 서귀포시 지역자원이라는 편견시각 등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현을생 시장은 개회사를 통해 "하논분화구의 복원을 위해서는 국비지원을 위한 제도적 장치와 현재 상태를 보존하고 더이상 훼손되지 않도록 하는 대책이 필요하다"며 "우리 서귀포시에서는 더이상 훼손되지 않도록 생태계 오염원을 차단하고 무허가 건물에 대한 대책을 세우겠다. 또한 하논범추위 등 민간과 협업을 통해 도민인식 제고에도 함께 노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