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이냐, 보전이냐.' 이러한 물음은 더 이상 낯설지 않다. 지난해 4월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된 제주밭담도 이 같은 물음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천년에 걸쳐 형성돼 오면서 제주농업을 지켜왔지만 밭담은 훼손되고 있다. 농업이 기계화되고 도시가 확산되면서 그 속도는 거세다. 한 예로 제주시 한경면의 경우 2001년부터 2005년 사이 밭담의 길이가 30% 이상 줄어들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경제 활동 과정에서 밭담의 보전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를 놓고 '사유권 침해'를 우려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 사유지를 둘러싼 밭담을 보전한다는 명목으로 개인의 편의와 이윤 추구를 무조건적으로 제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지난 9일 열린 농어업유산자원 활용방안 포럼에서도 이러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농업인 대표로 나선 한 토론자는 "밭담 보전지역으로 지정되는 경우 주민들의 사유권 침해가 발생할 수 있다"며 "지역 공동체의 소득 부분과 연계되는 보전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주민들 이익과 동떨어진 보전 대책은 공감을 얻기 어려울 뿐더러 호응 받지 못한다는 말이다. 보전과 함께 '활용' 방안에 초점을 맞춘다면 이러한 우려는 자연스레 해소될 부분이다. 사실상 이는 세계중요농업유산의 목적과도 맞닿아 있다. 가치 있는 농업유산을 보전하면서도 이를 활용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꾀하자는 것이다. 세계농업유산 선발주자인 일본 사례는 주목할 만하다. 일본의 경우 농업유산을 활용해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주민들에게 이득이 돌아가도록 하고 있다. 농업유산의 중요성을 백 번 말하는 것보다 이를 활용해 어떤 이득을 얻을 수 있을 지 알려주면서 보전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다. 밭담의 보전·활용 전략을 수립하고 진행하는 데 있어 제주특별자치도가 참고할 만한 부분이다. <김지은 정치부 기자>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