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기획
[기획]탄소 없는 섬 제주, 현재와 미래<2> 풍력개발 (1)자원으로 거듭난 제주바람
제주 섬에 부는 거센 '녹색 바람'
김지은 기자 jieun@ihalla.com
입력 : 2015. 10.26. 00:00:00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 풍력단지 모습. 강희만기자

고난·역경의 상징에서 청정 에너지 자원으로 주목
공공 주도 개발… 국내 풍력발전 산업의 태동지로


'바람의 섬' 제주는 척박한 땅이었다. 돌을 쌓아 바람을 막아야만 농사를 짓는 게 가능했고, 집을 지을 때도 바람을 다스리는 법을 깨달아야 했다. 바람을 이겨내는 것이 곧 삶의 연장이었던 셈이다.

거친 환경의 상징이던 제주바람이 새롭게 인식되고 있다. 에너지를 만드는 자원으로 주목 받으면서다. 이는 단지 제주만의 현상은 아니다. 바람을 이용한 풍력개발은 전 세계적으로 화석연료, 원전을 대체할 청정 에너지로 자리 잡고 있다.

국내에서도 풍력발전 비중이 커지고 있다. 지난해 기준으로 553.2㎿(메가와트)를 생산할 수 있는 설비가 설치됐다. 이는 전년과 비교했을 때 시설 용량이 19.4% 증가한 것이다. 이전까지 풍력발전은 땅 위에서 제한적으로 이뤄졌지만 해상으로도 확대되는 추세다. 정부는 서남해안(2500㎿), 전라남도(5000㎿) 해상에 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해 미래전략산업으로 키우기 위한 방안을 모색 중이다.

바람 많은 제주는 국내 풍력발전 산업의 태동지이다. 1998년 국내 처음으로 제주시 구좌읍 행원리에 풍력발전단지가 조성된 이후 현재까지 시설 용량 216㎿의 발전시설이 설치·운영 중이다. 조만간 381㎿ 규모의 시설이 추가 건설될 예정이다. 제주도는 '탄소 없는 섬'을 목표로 2030년까지 2350㎿의 육·해상풍력을 개발할 계획이다. 도내 총 소비전력의 57%를 대체할 수 있는 규모다.

그러나 풍력개발은 논란의 중심에 서 왔다. 개발 과정에서 경관 훼손과 소음 피해 문제 등이 제기된 탓이다. 민간기업 중심으로 개발이 추진되면서 수익이 지역사회로 환원되지 않고 외부로 빠져나가는 문제도 대두됐다.

이 같은 문제의 해결책으로 부상한 것이 공공 주도의 풍력개발이다. 제주도는 환경 가치를 키우고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 '공공주도의 풍력개발 투자활성화계획'을 수립해 추진하고 있다. 제주에너지공사가 그 중심에 섰다.

제주도는 풍력을 공공 자원으로 관리하기 위해 지방 공기업인 제주에너지공사를 사업시행예정자로 정했다. 이로써 에너지공사는 육·해상 풍력자원 개발지역을 선정하고 지구를 지정하게 된다. 육상풍력은 대규모 개발을 제한해 주민참여 방식으로 개발하고 마을에 수익이 돌아가도록 할 방침이다. 해상풍력은 막대한 사업비가 들어가는 만큼 민간 기업이 참여하도록 하되, 경쟁을 거쳐 에너지공사와 함께 발맞추도록 한다.

제주도 관계자는 "공공주도의 풍력개발은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객관적인 기준을 마련하고 경쟁에 의해 참여자를 선정할 계획이다"며 "풍력개발을 공공이 주도하게 되면 개발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무분별한 개발로 인한 경관 훼손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