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결핵은 국가에서 관리하고 있는 제3군 법정전염병중 하나이다. 주로 호흡기를 통해 결핵균에 감염(잠복결핵)되고, 이후 몸속에 잠복돼 있던 결핵균이 활성화되면서 폐실질을 파괴하고 타인에게 호흡기를 통해 전염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사진은 결핵예방포스터 폐결핵은 국가관리 제3군 법정전염병 활동성폐결핵 발병 예측 어려워 만연 2014년 제주서 500여명 발생 추정돼 45세 A씨는 얼마 전 무릎통증이 심해져 정형외과의원을 방문했다.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는 권고에 따라 수술날짜를 잡았다. 평소 간간히 기침이 있었고, 기침약을 수 차례 복용하며 지냈다. 병원에 입원해 수술전검사로 시행한 흉부엑스레이에서 폐결핵이 의심돼 흉부단층촬영(CT)을 했고, 이후 몇가지 검사를 통해 폐결핵을 확진받았다. 항결핵제를 복용하면서 수술을 받았고 무릎통증이 호전됐다. 6개월간 항결핵제 치료를 받고 폐결핵 완치 판정을 받았다. 제주대학교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이재천 교수가 소개한 결핵 진료 사례이다. 폐결핵은 주로 호흡기를 통해 결핵균에 감염(잠복결핵)되고, 이후 몸속에 잠복돼 있던 결핵균이 활성화되면서 폐실질을 파괴하고 타인에게 호흡기를 통해 전염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국가에서 관리하고 있는 제3군 법정전염병 중 하나로 발병 시 지체 없이 신고하도록 돼 있다. 타인이 배출한 결핵균이 호흡기를 통해 체내에 들어와 감염돼 있는 상태를 잠복결핵(latent tuberculosis)이라고 부른다. 잠복결핵 상태에서는 감염된 사람의 폐를 손상시키지 않고, 타인에게 결핵균을 전파시키지도 않는다. 일정기간 후에 잠복결핵 상태의 결핵균이 활동을 시작하게 돼 폐 조직을 파괴하고 타인에게 결핵균을 옮길 수 있는 상태로 발병하게 된다. 이 상태를 활동성 폐결핵이라고 부르며, 전통적으로 흉부엑스레이 이상 소견 환자에게 객담검체에서 결핵균의 존재를 확인해 확진한다. 결핵균은 약 두달간의 배양기간을 거쳐야 결핵균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최근에는 흉부엑스레이 보다 정밀한 흉부단층촬영(CT)과 객담검체의 유전학적 검사(PCR) 등을 도입해 이전보다 빠르고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다. 제주대학교병원 연도별 폐결핵 확진 환자수. 폐결핵이 더 만연했던 과거에는 기침, 객담 등의 증상이 몇 주 이상 지속되면 흉부엑스레이를 찍도록 권고해 폐결핵 환자를 조기에 찾아내 치료했다. 최근에는 건강검진, 학교검진, 첨단 검사방법 도입 등으로 조기에 발견하고 있다. 폐결핵 환자수는 최근에도 줄고 있지만 대표적인 후진국병인 폐결핵이 지금도 우리나라에 만연한 이유 중 하나는 결핵균에 감염된 잠복결핵 상태에서 활동성 폐결핵으로 발병하는 기간에 대한 예측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2012년부터 현재까지 연령별 폐결핵 확진 환자. 국내 폐결핵 사망건수(인구 10만명당, 2015년 세계보건기구 결핵보고서). 국내 폐결핵 발병건수(인구 10만명당, 2015년 세계보건기구 결핵보고서). 이재천 교수는 "잠복결핵으로 확진되면 수개월간 항결핵제를 복용하는 잠복결핵치료를 꼭 받아야 하나하고 궁금해 할 것이다. 하지만 어느 시점에 활동성 폐결핵으로 이행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모든 잠복결핵환자가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또 "국내 결핵진료지침에서는 폐결핵 발병의 고위험군으로 분류되는 질환(후천성면역결핍증(HIV), 장기이식 혹은 류마티스질환 등으로 면역억제제 사용, 만성신부전, 당뇨병, 위절제술 받은 환자 등)이 있는 사람들의 잠복결핵 치료를 권유한다"고 덧붙였다. <제주대학교병원·한라일보 공동기획>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