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에서 내려다 본 제주시내. 건물이 빼곡히 들어서 있는데 반해 녹지 공간은 드문드문 보인다. 강경민기자 도시개발 등 녹지 공간 감소 숲 대상지 발굴도 쉽지 않아 숲트러스트 민·관 협력 과제 건물이 빼곡히 모여 있는 도시에는 회색빛이 짙다. 도로를 따라 우뚝 선 가로수, 도시공원 등이 그나마 푸른빛을 불어넣지만 개발 붐으로 인해 이마저도 줄고 있다. 제주는 특유의 자연경관으로 사람들의 발길을 사로잡지만 그 안, 도시의 풍경은 여느 곳과 다를 게 없다. ▶제주의 도시숲= 2013년 제주시 도남동에 조성된 '오라올레 도시숲'. 한때 화물차가 불법 주차를 하던 이곳은 작은 숲이 됐다. 담팔수 등의 나무가 울창하게 자랐고, 그 사이로 산책로가 자리했다. 차량이 빠르게 오가는 아스팔트 도로에서 몇 걸음 안 가 마주하는 녹색 공간이다. 도시숲은 여러모로 이롭다. 도시의 온도를 식히는 바람길이 되고, 도시가 호흡하게 하는 허파 역할을 한다. 국립산림과학원의 '산림의 공익 기능 계량화 연구'(2016)를 보면 1㏊ 규모의 숲은 미세먼지 등 오염물질을 연간 168㎏ 흡수하고 여름철 평균 기온을 3~7℃ 낮춰주는 효과가 있다. 도시 소음을 완화하고 심리적 안정감도 주기도 한다. 한마디로 도시 안의 '삶의 질'을 높여주는 셈이다. 제주도는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사업비 162억8000만원을 들여 도시숲 93.55㏊를 조성해 왔다. 그 형태도 녹색쌈지숲, 명품가로숲길 등으로 다양하다. 건물 사이 자투리땅에 나무를 심거나 길가에 가로수 등을 심는 방식으로 도시생활권에 녹지 공간을 늘리고 있다. 하지만 도시 인구가 늘고 개발이 심화되면서 도시숲은 설 자리를 잃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와 산림청에 따르면 도내 도시지역(행정구역 '읍' 이상)의 1인당 생활권 도시림 면적은 지난해 기준 11.85㎡다. 이는 세계보건기구의 권고 면적(9㎡)과 전국 평균(9.91㎡)을 웃돌지만 그 범위를 동 지역에 한하면 이를 크게 밑돌거라는 관측이 나온다. 그만큼 인구가 집중되고 고밀도 개발이 이뤄지는 시내에선 녹지 공간을 찾아보기 어렵다. 제주시 도남동 오라올레 조성 전후. 사진=제주도 제공 제주도 관계자는 "시내 지역에선 도시 개발 등으로 숲을 조성할 공간을 찾기 어렵다"며 "읍면동의 협조를 받아 공한지를 찾거나 택지개발지구 공원 부지 등에 도시숲을 조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와 지자체가 한 해 도시숲 조성에 투입하는 예산도 한정될 수밖에 없다. 제주도는 올해 산림청의 지원을 받아 30억원을 투입해 도내 9곳에 도시숲 15㏊를 조성할 예정이다. 이는 2008년 이래로 최대 규모이지만 한 해 사업 면적과 사업비는 10㏊ 안팎, 20억원 내외에 그쳤다. 이에 도시숲 조성을 활성화하는 방안으로 민·관 협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수도권 등에서 기업, 시민단체, 주민 등이 참여하는 도시녹화운동이 활기를 얻는 것과 달리 제주에선 그 움직임이 미미하다. 한 예로 도시숲 조성·관리를 위한 민·관 협력 체계인 '도시숲 트러스트'가 지난해 전국적으로 35개에 달했지만 제주에는 아직 구성되지 않았다. 도 관계자는 "올해 행정시별로 도시숲 트러스트를 구성해 도시녹화운동 참여를 활성화할 것"이라며 "기업과 함께하는 도시숲도 조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