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골충돌증후군은 과도한 손목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손목통증이 있다면 가급적 손목에 부담이 되는 작업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사진=제주대학교병원 척골, 요골보다 길어지는 게 큰 원인 통증 유발 자세·동작 피하도록 해야 관절 내 손상 심하면 수술치료 필요 어느날 갑자기 손목에 통증이 심해지고, 잠시 쉬면 나을까 해서 휴식을 취했다. 약까지 복용했지만 상태는 호전되지 않았다. "손목에 이상이 있는 것 같은데, 시간이 좀 지나면 나아지겠지"라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경우 상당수가 척골충돌증후군인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척골충돌증후군은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과도하게 손목을 사용하면 나타난다. 걸레를 짤때나 손목을 비틀거나, 물건을 들 때 등 통증이 발생한다. 특정 스포츠 종목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제주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서규범 교수의 도움으로 척골충돌증후군에 대해 알아본다. 척골은 자뼈라고 하는데, 자뼈는 아래팔의 안쪽에 위치하며 노뼈(요골)와 나란히 놓여 있는 삼각 기둥모양의 긴 뼈이다. 자뼈의 몸쪽 부분에는 팔꿈치머리와 갈고리 돌기가 있는데 위팔뼈 먼쪽 부분의 관절면과 위팔자관절을 이루고 노뼈머리와 자뼈의 노패임에서 몸쪽 노자관절을 이룬다. 자뼈의 먼쪽 부분에서는 먼쪽 노자관절을 이루며 손목뼈와 손목관절을 형성한다. 척골충돌증후군은 척골의 머리와 척측 수근골(새끼손가락쪽 손목 뼈)에 반복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가해지는 부하에 의해 발생하는 만성 퇴행성 병변이다. 수근부의 척측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질때 손목의 척측부 통증, 부종, 관절운동 제한 및 손의 악력 약화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척골충돌증후군은 주로 척골이 요골보다 상대적으로 길어져 척골과 수근골이 충돌하면서 나타나며, 이 두 뼈 사이에 부하가 발생하면 삼각 섬유연골 복합체(TFCC)의 퇴행성 변화 및 파열, 척골의 머리와 수근골이 약해지고 손목 척측 인대의 파열 등이 일어날 수 있다. 척골충돌증후군은 척골이 길어져 척골의 머리와 수근골이 충돌하면서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사진 왼쪽). 손목의 척골 머리가 길어져 척골충돌증후군이 있는 환자에서 척골 단축술 후 방사선 사진이다. ▶진단=임상 증상으로는 손목 척측의 통증, 부종 및 관절 운동 제한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주먹을 쥔 상태에서 손목을 반복적으로 돌리거나, 손목이 척측 전위된 상태에서 힘을 주면 통증이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손에 힘을 주는 일을 할 때 통증이 동반되며, 쉬면 좋아졌다가 사용하면 다시 증상이 반복된다. 문고리를 돌리거나 걸레를 짜는 동작처럼 손목을 비틀면 통증이 있으며, 손목 쪽에 저림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손목을 척측 전위된 상태에서 전완부를 안쪽 및 바깥쪽으로 회전시켰을 때 통증이 유발되면 척골충돌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다. 손목의 방사선 사진 상 척골이 길어지고 척골 머리, 수근골의 연골이 약해진 소견이 확인되면 진단할 수 있다. 자기 공명 영상(MRI) 검사에서도 삼각 섬유연골 복합체(TFCC)의 퇴행성 변화 및 파열, 척골 머리와 수근골의 연골이 약해진 소견 및 손목 척측 인대의 파열을 확인할 수 있다. ▶치료=뼈 및 관절의 손상이나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통증을 유발하는 자세나 동작을 피하도록 하고, 약물이나 물리치료와 같은 보존적 치료를 하면서 지켜볼 수 있다. 증상이 심할 경우 부목 고정을 할 수 있으며, 보존적 치료를 시행함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지속되고 관절 내 손상이 심하다면 병의 진행을 막고 척골 머리와 수근골의 충돌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수술 방법은 척골이 긴 정도, 원위 요척 관절의 변형이나 관절염의 정도 및 안정성, 삼각 섬유연골 복합체(TFCC)의 손상 여부, 손목 주위의 인대의 손상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해야 한다. 척골의 머리가 조금 길 경우에는 손목 관절 내시경 수술을 이용해 긴 뼈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척골과 요골의 길이 차이가 큰 경우에는 척골 머리의 높이를 낮춰주는 척골 단축술이 가장 좋은 수술적 치료 방법이다. 척골충돌증후군에서는 삼각 섬유연골 복합체(TFCC)의 파열이 동반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손목 관절 내시경을 함께 시행해 확인하는 것이 좋다. ▶수술 후 관리=수술 후 손가락의 능동적 운동을 허용하면서 긴 팔 부목을 2주간 고정한 후 4주까지는 제거 가능한 부목을 유지하며 손목과 주관절 운동을 시작한다. 4주 이후부터 물리 치료 등을 하면서 손목 관절 운동 범위와 근력 강화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골 유합이 일어날 때 까지는 격렬한 활동은 제한해야 하지만 수술 후 3개월부터는 활동에 제한을 두지 않고 생활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것이 좋다.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