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제주에 빠지다
[2017 제주 愛 빠지다](3) 제주 이주한 김은주·김형준 부부
"해녀를 새로운 모습으로 바라봐야"
양영전 기자 yj@ihalla.com
입력 : 2017. 06.08. 00:00:00

김은주·김형준 부부는 제주 바다가 주는 여유를 잊지 못해 제주도로 이주, 해녀·해남이 됐다면서 힘든 직업이지만 '명랑'을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강경민기자

공천포 명랑 해녀·해남 부부
해녀 직업적 자존감 높여야


“아내가 3박 4일간 제주로 여행간다며 나갔는 데 '한 달 살이'를 해 버리더라고요. 집에 오고 나선 제주도에 살 전세집을 계약했다고 하더라구요."

제주도에서 '명랑해녀'로 통하는 김은주(49)씨의 남편인 김형준(49)씨가 말했다. 은주씨가 제주의 매력에 빠져 제주살이를 결심하고 끝내 제주도에 집까지 구해 버린 것이다. 그렇게 은주씨는 서울 생활을 접고 제주도민이 됐다.

이들은 서귀포시 공천포 어촌계 소속 해녀·해남 부부다. 은주씨는 제주 이주 전에도 틈틈이 제주를 찾았다. 취미 생활로 시작한 프리다이빙을 하기 위해서다. 은주씨가 2014년 한수풀해녀학교에 입학하면서부터는 형준씨의 표현대로 '강제 주말부부'가 됐다. 이듬해에는 형준씨도 제주도로 내려오면서 주말부부 딱지를 뗐다.

하루에 8~9시간 동안 물 속에서 지내는 해녀는 제주에서 고된 노동의 상징처럼 여겨진다. 대부분 고령인 제주의 해녀들은 비가오나 눈이오나 매일같이 물질에 나선다. 15세 전후의 나이에 물질을 시작한 해녀들은 가정의 생계를 위해 자식들 뒷바라지를 위해 기꺼이 자신을 희생했다. 어릴 때부터 해오던 일이라는 이유로 나이가 들어서도 바다를 떠나지 못한다. 해녀는 그렇게 평생을 바다에서 살아간다.

이들은 어쩌다 제주로 와서 이 힘든 직업을 택하게 됐을까.

"각박한 도시 생활에 지쳤어요. 여행차 들른 제주에서 바다가 줬던 여유를 잊지 못했어요. 실제로 살아보니 제주는 다른 지역보다 텃새도 없고 인심도 좋더라고요. 프리다이빙을 했다는 이유로 물질을 우습게 봤다가 큰 코 다쳤지만요." 부부가 웃어보였다.

부부는 물에 들어가기 전에도 물질을 끝낸 후에도 '명랑'을 잃지 않는다. 해녀가 힘든 직업임은 분명하지만, 앞으로 양성될 해녀들을 위해 이들은 생각을 달리 한다.

"물질을 하면서 가장 안타까웠던 것은 해녀들의 어렵고 힘든 부분만 부각되고 있다는 거에요. 항상 물질을 마치고 난 후 힘든 얼굴만 보여주죠. 앞으로는 달라져야 합니다."

이 부부의 생각은 확고했다. 바다가 좋아서, 해녀라는 문화를 사랑해서 물질하는 모습을 자꾸 보여줘야 한다는 것이다. "젊은 사람들한테 힘든 해녀를 왜 하려고 하느냐는 말만 하면, 누가 해녀를 하려고 하겠어요. 그래서 대가 끊기는 거에요. 젊은 해녀를 양성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녀를 예전에 바라봤던 모습이 아닌 새로운 형태의 직업으로 바라봐야 한다는 거에요."

해녀의 미래를 진심으로 고민하는 이 부부는 따끔한 조언도 잊지 않았다. "인터넷을 보면 해녀와 관광객하고 같이 찍은 사진 한 컷이 없어요. 물질을 마치고 막 바다에서 나온 모습은 찍히지 않고 싶은 얼굴이라서 그럴 수도 있지만, 해녀들의 직업적 자존감이 낮은 이유도 있다고 봐요."

해녀의 직업적 자존감을 높인다는 측면에서 명랑해녀라는 이름을 달고 활동 하는 것도 이와 맥을 같이 한다.

"페이스북에 물질하는 모습을 찍어 올리는 이유도 고되고 힘든 해녀 일을 하지만 이렇게 즐겁게 사는 사람도 있다는 걸 보여주고 싶은 거에요."

해녀의 전통을 지키면서 밝은 미래를 꿈꾸는 부부는 행정을 향해서도 이 같은 바람을 전했다.

"거창한 행사를 마련해 해녀들을 초대하는 것보다 제주도에 101개 어촌계가 있다고 하니 어촌계를 직접 찾아왔으면 해요. 해녀라는 대단한 직업을 갖고 있다고 말해주고, 안전 교육도 시켜주면서 나이 많은 해녀들의 자존감을 높여줬으면 좋겠어요."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