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확한 감귤을 선과장에서 크기별로 분류하고 있다. 요즘은 비파괴선과기를 도입해 크기 뿐만 아니라 당도까지도 분류할 수 있다. 강희만 기자 photo@ihalla.com 일손 부족한 산남지역으로 원정수확 소비자 인식 변화 등 유통 시기 늦어져 "게매, 북군사람이 남군에 강 감귤 딸 때 한달씩 살곡 경 해 났주(그러게, 북제주군에 사는 사람이 남제주군에 가서 감귤 딸 때 한달씩 살면서 일해주기도 했었지)." 감귤수확이 시작된 10월, 제주시 애월읍 출신 양경혜(49)씨는 29년 전과 감귤 딸 때 달라진 모습을 설명했다. 요즘은 부족한 일손을 제주인력지원센터의 국민수확단이나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한다. 1989년 즈음만 해도 제주도 사람, 북제주군 사람이 감귤 과수원이 많고 일손은 부족한 남제주군 지역에 파견돼 한달 정도 살며 일해주다가 오기도 했다. 과수원에서 농민들이 감귤을 수확하고 있다(위-과거, 아래-현재 모습). 양씨는 "감귤 표면 전체가 완전히 주황색이 될때까지 따면 다음 해에는 감귤이 많이 못 열린다고 해서 주황색이 70% 이상 돌면 따서 익혀서 팔았지만 소비자들의 인식 변화와 감귤 후숙시키지 않고 출하하기 운동 등으로 귤을 조금 더 나무에 매달게 돼 수확시기가 늦어졌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