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출신 문순임(80·오른쪽)·고길자(76) 해녀 스쿠버다이버·크루즈항에 작업터전 사라져 30년 전 마을해녀 40~50명… 현재 6명만 남아 "해녀 있는 줄 모르는 사람 많아… 대 끊길듯" 아바이 순대와 오징어 순대로 유명한 강원도 속초시 청호동의 아바이마을. 함경도에서 내려온 피난민들이 많이 거주하는 까닭에 아바이마을이라 불리는 이곳에도 해녀들이 존재한다. 30년 전 속초시 청호동에 활동하던 해녀는 모두 제주 출신으로 40~50명 가량 됐다. 그 중 대부분이 고령으로 돌아가시고 은퇴하면서 10년 전인 2009년 마을 해녀수는 열 댓명으로 급감했다. 현재 어촌계 소속으로 남아 있는 해녀는 모두 5명에 불과하다. 제주출신인 문순임(80), 고길자(76) 해녀를 비롯해 강원도 토박이로 출향해녀들로부터 물질을 배운 윤금월(60), 김금옥(60) 해녀, 부모님이 제주출신으로 속초에서 물질을 배운 이정숙(55) 해녀가 바로 그들이다. 이곳에서 해녀의 맥을 이어가고 있는 이들이 물질을 그만두면 속초시 청호동의 해녀는 그야말로 대가 끊어지는 셈이다. 해녀복지회관에서 청호동 마을해녀들이 모여 얘기하고 있다. 왼쪽부터 고길자, 문순임씨와 제주해녀들로부터 물질을 배운 김긍옥(60) 해녀회장, 윤금월(60) 해녀. 윤 씨는 "방파제 공사 등 개발이 계속되다 보니 남은 자연이 하나도 없다. 처음 물질을 배울 때 돌이 안보일정도 많이 자랐던 자연산 다시마, 미역이 지금은 전혀 없다. 성게·전복 등 모든게 전의 3분의 1도 안된다"면서 "크루즈선과 계속되는 개발로 바다를 다 빼앗겼다"고 말했다. 해녀회장을 맡고 있는 김씨는 "해녀에 관심이 많이 떨어지다보니 속초에 해녀가 있는 줄도 모르는 사람이 많다"면서 "그래서인지 바다를 개발하기 전에 해녀와 논의하는 것이 거의 없다"고 토로했다. 출향해녀인 문 할머니도 "이곳에서 해녀의 힘이 약하니 보상도 하나도 없다"며 "바다를 달라고 하면 말없이 다 줘야…"라며 말을 줄였다. 2009년 강만보 사진작가가 발간한 '동해안의 제주해녀' 사진집에 수록된 속초시 청호동 아바이마을 출향해녀들의 모습을 해녀들. 이 10년 전을 회고하며 당시 모습을 재연하고 있다 고 할머니는 "물건이 없어서 조도에 가지 않는다"며 "스쿠버들 중 물건을 해가는 사람들이 있다"고 말했다. 문 씨는 "속초시에서 섬 인근에 스쿠버 활동구역을 정해줬는데도 지키지 않는다"며 "레저로 스킨스쿠버를 즐기는 것이 아니라 해산물을 채취해 판매까지 하는 사람들이 많다. 판매까지 한다는 건 레저가 아니라 직업"이라며 어려움을 토로했다. 고 할머니는 "처음왔을 때 물질을 하지 못하게 하는 경우가 많아 고생이 많았다"며 "당시 속초 제주도민회가 '해녀를 우습게 여긴다'면서 해녀조합을 설립한 이후에야 아무데서나 순조롭게 작업을 할 수 있었다"고 회상했다. 김 씨는 출향해녀를 살아 있는 역사라며 "제주출신 해녀 어머니들은 처음 여기서 물질을 할 때 적삼 속옷을 입고 불턱에서 불을 쬈다. 10년 전만 해도 이분들이 채취한 성게는 일본에 모두 수출된 외화벌이를 한 애국자"라고 평했다. 해녀들이 물질작업을 하고 있다. 문 씨도 "유네스코에 해녀가 등재된 이후에도 출향해녀와 다른 지역의 해녀의 삶이 달라졌다고 느껴지지 않는다"며 "잠수증을 의료원에 낸적이 있지만 지원을 받을 수 없다고 했다. 해녀들이 물질작업을 하고 있다. 마을해녀가 사라지는 것을 아쉬워 하던 이들은 끝으로 "독도에서 한 번, 통일되서 해금강에서 한 번 물질하는 것이 마지막 소망"이라며 해녀가 천직임을 보여줬다. <특별취재팀=팀장 고대로 정치부장·이태윤·채해원 기자 / 자문위원=양희범 전 제주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좌혜경 제주학연구센터 전임연구원, 조성환 연안생태기술연구소장, 김준택 제주도의회 농수축경제위원회 정책자문위원, 조성익·오하준 수중촬영전문가>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