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는 지난 2015년부터 제주포럼행사에 북한측 인사 초청을 추진했다. 제주에서 북측 인사와 한반도의 평화와 협력을 논의할 기회를 갖기 위한 차원이다. 북측 인사의 제주포럼 참가는 불발로 그쳤으나 이때부터 대북교류사업의 구체적 내용들이 제시되기 시작했다. 원희룡 제주지사는 2015년 제10회 제주포럼 개최를 앞두고 북한 감귤 보내기 추진, 제주와 북한을 잇는 크루즈 관광라인 개설, '한라에서 백두까지' 남북한 교차관광, 한라산 백두산 생태·환경보존 공동협력사업, 2016 제주포럼 북측 대표단 참석 등 5대 협력사업을 제안했다. 이어 2016년부터는 기존 5대 사업에 에너지 평화협력 사업이 추가돼 '5+1 남북교류사업'이 제안됐다. 이어 제주도는 지난해 제13회제주포럼을 앞둬 남북간 에너지 평화협력 사업을 구상하고 '한반도 미래비전 세션'에 북측 에너지 관련 전문가 2명을 초청하는 계획을 수립했다. 제주도의 분산 자립형 에너지 조성모델을 북한지역에 적용해 전력난을 겪고 있는 북한의 에너지 문제해결에 기여하기로 결정을 한 것이다. 북한의 전력난은 심각한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2016년 기준 북한의 총발전량은 수력 128억㎾h(53.6%), 화력 111억㎾h(46.4%) 등 239억㎾h로 한국의 총발전량 5404억㎾h의 4.4%에 불과하다. 이같은 전력난이 산업구조 정상화·다양화조차 어렵게 만들고 있다. 북한 주민들에게 경제발전을 약속한 김 위원장이 전력 문제 해소에 집중할 수 밖에 없는 배경이다. 북한이 2차 북·미 정상회담 실무협상 과정에서 전력난 해소를 위한 전력 지원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권'을 주장한 바 있다. 하지만 미국 측은 원자력발전소 대신 화력발전소 지원은 가능하다는 의중을 보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북한에 대한 원자력 에너지 지원 사업은 1994년 제네바 합의를 통해 다뤄진 바 있지만 결국 무산됐다. 당시 북·미는 북한의 핵개발 동결 대가로 1000㎿급 경수로 2기를 제공키로 했다. 그러나 2002년 북한의 핵실험 사실이 드러나면서 성사되지 못했다. 이와 함께 제주도는 북한 예술단을 초청해 제주포럼 기간 중 별도 행사로 공연을 진행할 계획도 마련했다. 제주도는 이 같은 계획을 민간단체를 통해 북한 민족화해협의회(민화협)에 전달했으며 세부 논의를 위한 면담을 제안했으나 끝내 성사되지는 못했다. 하지만 제주도의 인사교류 노력은 멈추지 않고 있다. 제주도는 오는 5월 29~31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제주)에서 열리는 제14회 제주포럼에 북한측 인사를 초청해 한반도의 평화와 협력을 논의할 기회를 가질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난 3월 통일부에 올해 제주포럼에 북측인사 초청을 위한 공문을 발송하고 협조를 당부했다. 하지만 이달 현재까지 북측의 답변은 없는 상태이다. 지난달 28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제2차 북미 정상회담이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끝났지만 북미대화는 계속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협상 결렬 이후 북미관계는 점점 더 꼬이고 있으며 한반도 미래는 불투명하다. 하지만 앞으로 한반도의 평화분위기가 무르익으면 북측과의 인사교류는 이뤄질 것으로 제주도는 예상하고 준비하고 있다.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