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걱정 없는 힐링 제주' 연구사업 박차". 제주도가 지난달 26일 언론에 배포한 보도자료에는 이런 제목이 달렸다. 지역 특성에 맞는 치매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치매연구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는 내용이었다. 이 소식이 반가웠던 건 제주지역 치매 유병률이 전국 평균을 웃도는 상황에 대한 우려감에 더해 치매 환자 가족과의 만남이 떠올라서다. 2년 전 도내 한 보건소의 치매가족교실 '헤아림'에서 마주했던 이들은 하나 같이 치매 환자 돌봄에 대한 어려움을 토로했다. 어떤 이는 "가족들이 치매에 대해 잘 알지 못해 어머니의 인지가 빠르게 안 좋아졌다"며 치매에 대한 이해 부족을 자책하기도 했다. 제주도가 말한 대로 '지역에 맞는 치매관리체계'가 구축된다면 이들이 짊어져야 했던 부담도 덜어줄 수 있을 거다. 정부가 '치매국가책임제'를 내건 지도 비슷한 시간이 흘렀다. 보건복지부는 2017년 9월 '치매 부담 없는 행복한 나라'를 만들겠다며 치매 문제를 개별 가정이 아닌 국가 돌봄 안으로 끌어당겼다. 그간 제주에도 여러 변화가 있었다. 지난해 도내 보건소 6곳에 치매관리사업을 맡는 치매안심센터가 문을 열었고, 올해 4월 성산읍 신산리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치매안심마을 7곳이 지정됐다. 치매국가책임제 시행에 따른 전국적인 움직임이지만 빠른 고령화 속에 치매가 사회 전반에 부담요인으로 작용하는 상황에선 분명 긍정적인 변화이다. 하지만 치매 조기 발견을 가로막는 부정적 인식이 여전한데다 치매안심마을 운영 등도 이제 막 시작단계에 그친다. '치매 걱정 없는 제주'를 위해선 한 마을을 넘어 제주사회가 치매를 이해하고 함께 예방·관리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인식 개선 등이 필수적이다. 이제부터가 더 중요하다. <김지은 편집부 차장>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