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의 시작은 한 학부모가 올린 글이었다. 제주도교육청을 통해 지원 받은 초등 안심서비스 단말기(등하교 정보 제공 등), '키즈폰'이 고장 나 고치려다보니 수리 기간이 길어 그동안 아이가 혹시 모를 위험에 처하진 않을지 걱정된다는 거였다. 키즈폰의 경우 타 지역에 있는 제조사를 통해 직접 수리를 받아야 해 제주에선 고칠 방법이 없는 탓이다. 문제는 또 있었다. 제주도교육청은 "키즈폰이 고장 나면 통신사를 통해 '대체폰'이 제공된다"고 했지만 실상은 달랐다. 키즈폰을 공급한 한 통신사 대리점에 문의하니 고장 난 단말기를 대신할 수 있는 "물량이 없다"는 말이 돌아왔다. 제주만의 문제는 아니었지만 도교육청이 이런 상황에 깜깜한 데에서 현장에서 제대로 된 안내가 이뤄지지 않음을 짐작하게 했다. 자녀가 쓰던 키즈폰이 고장 나면 당장 등하굣길 안전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일 거다. "일부 사례는 관행적, 습관적, 소극적으로 업무를 추진하다 보니 우리도 인지하지 못한 잘못이 지적되기도 했다. 제주 교육이 공고히 발전하고 도민의 신뢰를 잃지 않기 위해선 지금 이 시점에서 되돌아봐야 하지 않을까." 지난 1일 도교육청 관계자가 제주도감사위원회 종합감사결과에 따른 개선 방안을 발표하며 꺼낸 얘기다. 수많은 교육 현안 속에 얼핏 사소해보일 수 있는 키즈폰 이용 불편 등의 원인도 들여다보면 '습관적 업무'와 맞닿아있다. 이미 수년 전부터 진행되던 사업이라 교육청의 말마따나 '대체폰' 공급이 가능했을 수도 있지만 달라진 상황에서 이 같은 안내는 오히려 혼란만 불러일으킬 수 있다. 학생들의 안전한 등하굣길을 위한 꼼꼼한 행정이 아쉽다. <김지은 교육문화체육부 차장>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