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하면서 작년 대비 58% 수준까지 떨어졌던 국내 이동량이 황금연휴 때 83% 수준까지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태원 클럽발 집단감염 사례가 알려지면서 이동량은 다시 75%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15일 통계청과 SK텔레콤이 모바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 2월 29일(토요일) 전 국민 이동량은 2천503만 건으로 1년 전 같은 시기(4천307만건)의 58.1%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동량 감소는 분석기간(2월 8일∼5월 9일) 중 가장 큰 폭이다. 그 2주전 토요일인 2월 15일 이동량은 3천730만건으로, 작년(3천874만건)의 96.3% 수준이었지만 이날을 기점으로 이동량이 폭락했다. 원정연 통계청 빅데이터통계과장은 "코로나19 감염자가 늘어난 영향으로 이동량이 줄었으며, 특히 지역 집단 감염이 발생한 20일 이후 첫 주말인 29일에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국내 인구 이동량은 통계청이 국내 점유율 42%를 차지하는 SK텔레콤의 모바일 이동 데이터를 토대로 전 국민 수준으로 변환한 수치다. 인구이동은 본인이 실거주하는 시·군·구 외 다른 시·군·구를 방문해 30분 이상 머물렀을 때 1건으로 세기 때문에 이동한 사람의 수와는 차이가 있다. 예컨대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사는 이가 서초구 서초동에서 1시간, 서초구 반포동에서 1시간씩 각각 머물렀다면 총 이동은 2건으로 계산된다. 토요일 기준 이동량은 이후 점차 회복세를 나타냈고, 황금연휴인 지난 2일에는 4천163만건으로 작년(5천24만건)의 82.9% 수준까지 회복했다. 하지만 그다음 주인 지난 9일에는 3천340만건으로 전년(4천454만건)의 75.0% 수준으로 다시 떨어졌다. 이는 지난 7일 서울 이태원 클럽발 코로나 집단감염이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이동을 줄인 영향으로 풀이된다. 코로나 발생 전(1월 9일∼22일)과 이동량을 비교한 결과도 비슷한 흐름이다. 2월 20∼29일 이동량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가 3월 초 증가했으며, 황금연휴(4월 30일∼5월 3일)에 큰 폭으로 이동량이 증가했다. 주말(토·일)과 주중 이동량을 비교한 결과, 코로나19의 영향은 주말에 더 크게 나타났다. 특히 황금연휴였던 13주 차(4월 27일∼5월 3일) 주말에는 유일하게 발생 전보다 이동량이 2.4% 증가했다. 이러한 경향은 주말의 이동 여부를 주중과 다르게 개인이 선택할 수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코로나19 창궐 상황에서 재택근무를 하지 않았다면 주중에는 의사와 다르게 출근해야 하지만, 주말에는 이동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남성보다는 여성이, 연령별로는 20대 이하, 60대 이상에서 감소가 컸다. 출근 여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는 상업지역·관광지·레저스포츠시설이 주거지역보다 이동량 감소가 컸다. 다만 황금연휴가 있던 발생 후 13주 차에는 관광지, 레저스포츠시설에서 이동량이 크게 늘었다. 시도별로 보면 코로나19 발생 이후 제주·강원·부산 등 관광지역, 대규모 확진자가 발생한 대구를 중심으로 인구 유입이 큰 폭으로 줄었다. 하지만 역시 13주 차에는 전남·전북·추암·강원 등 대도시가 아닌 지역으로 인구 유입이 큰 폭으로 늘었다. 관광 수요가 늘어난 영향으로 보인다.[연합뉴스]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