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일동·비양동 자연마을 500명 거주 제주최초 우도등대는 해양관광상품 검멀레해변·달그리안 등 명소 가득 마을공동체 붕괴 걱정 속 본질찾기 제주의 동쪽 끝 조일리. 그래서 조일리의 아침은 다른 곳보다 한 발 앞서 온다. 우도 비양도 너머 바다를 박차고 오른 아침햇살이 흔들거리는 물결에 비추며 반짝거린다. 부지런한 바닷사람들을 일찍 흔들어 깨우는 빛이다. 조일리(朝日里)는 우도면 가장 동쪽에 위치한 마을이다. '햇살이 가장 먼저 비추는 곳'이라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다. 약 100년 전 목장을 개간하기 위해 사람이 들어와 살면서 마을이 형성됐다. 남쪽의 영일동과 북쪽의 비양동 두 개의 자연마을에 500여명이 주민이 살고 있다. 검멀레해수욕장의 오후 조일리와 천진리를 사이에 두고 우도봉이 자리한다. 우도의 머리에 해당하는 부분이라고 해서 '쇠머리오름' 혹은 '섬머리'라고도 한다. 높이 132.5m로 우도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이다. 이 곳에 오르면 우도는 물론 제주본섬이 한눈에 보인다. 멀리 한라산과 다랑쉬, 지미봉 등의 오름은 물론 성산일출봉의 아름다운 자태까지 또렷이 보인다. 이처럼 해안으로 내리지르고 있는 언덕에서 바라보는 풍광이 정말 매력적이다. 하지만 이 곳은 파도와 바람에 여전히 깎여 내리고 있다. 먼 훗날 언젠가는 지금의 모습은 변하고 없을지 모른다. 언제 무너질지 모르는 언덕은 그 아찔함만큼 절경을 선사하는지도 모른다. 우도민들의 생활을 담은 전시장 우도 본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풍경 우도봉 아래로 검멀레 해변이 있다. 검은 모래 해변이라는 뜻으로 우도의 생성과정을 볼 수 있는 곳이다. 우도봉의 단면이 훤히 보이는 협곡에서 비스듬한 돌들의 켜를 보게 된다. 바다에서 솟아난 화산이 돌이 돼 대지를 이루고 산을 만들다 부서져 모래가 될 때까지 얼마나 오랜 시간을 인내하고서 만들어졌을까? 고래 콧구멍이라 불리는 해안의 동굴들은 여전히 바다와의 사투로 깎이며 뚫리고 있다. 천장에서 뚝뚝 끊겨나간 돌들이 종잇장처럼 널브러지고 파도는 또 다시 이에 부딪치며 부드럽게 다듬어낸다. 이런 자연의 조화들이 경치를 만들어내는데 그것이 우도팔경 중 제1경인 주간명월(달그리안)이다. 해식동굴에 햇빛이 반사돼 동굴의 천장에 달 형상을 만들어내는 모습을 보고 이르는 말이다. 그 풍경을 보기 위해서는 오전 10~11시 경 배를 타고 나가야 잘 볼 수 있다. 제주 최초의 무인등대였던 우도 등대 고래 콧구멍이라 불리는 동안경굴 우도봉에 오르면 한라산과 성산일출봉 등이 훤히 보인다 [인터뷰] “글 소통으로 공동체 회복 엿보게 돼” 김영진(우도마을신문 달그리안 대표) 최근 김석린진사생가터를 새롭게 조성하며 '우도섬마을생활사박물관'이 생겼다. 그 첫 발걸음으로 마을이야기를 담아내는 전시를 기획하게 됐다. 개발의 바람 속에 사라져 가는 우도의 옛 모습 속에서 우리가 가야할 방향을 성찰해 보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마을 어르신들의 앨범을 뒤져 과거 우도의 모습을 찾아봤다. 마을잔칫날 모습과 어우러져 체육대회를 하던 모습들이 담겨있었다. 지금은 잊고 있는 우리의 모습이었다. 이런 소중한 순간들을 공유하고 자료화 해 남겨야겠다는 필요성을 느끼고 전시로 이끌어냈다. 앞으로도 이런 우리의 이야기 그리고 마을 공동체를 위한 노력들이 살아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열악한 시절 뒤로 사정 많이 나아져” 정영철(조일리 전 이장) 과거 우도는 반농반어 생활을 했다. 쌀보리, 고구마, 조 등의 농사를 지었다. 이때 듬북 등의 바다 해초를 밑거름으로 썼다. 해녀들이 물에 들어가면 전복, 소라 등을 캐온다. 물건이 좋을 때는 1.5㎏짜리 전복을 건져 올리곤 했었다. 하지만 지금은 그런 전복을 볼 수 없다. 남자들은 배를 타고 나가 고기를 잡고 했었는데, 요즘은 수지타산이 맞지 않아 뱃일을 거의 하지 않는다. 먹을 게 귀하던 시절이라 돼지고기는 명절이나 제사 때 정도 에나 먹을 수 있었다. 그래서 연말에 갑회 때면 돼지를 추렴해 나누는 게 큰 행사가 되곤 했다. 출생지가 우도 비양동이다보니 늘 아침 일출을 제일 먼저 맞는다. 가끔 배를 타고 나가면 우도 팔경인 주간명월을 보게 된다. <글·사진=조미영(여행작가)>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