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경제
"월동채소 주산지 제주서 김치산업 육성해야"
7일 도의회에서 '김치푸드시스템 조사·자급률 제고' 보고회
도내 배추김치 소비량 제주산 제조시 농산물 2만7459t 소비
문미숙 기자 ms@ihalla.com
입력 : 2021. 04.07. 17:31:34

제주에서 생산되는 김치. SNS 캡처

국내산 김치 자급률이 값싼 중국산에 밀려 갈수록 떨어지는 가운데 월동채소류 주산지인 제주에서 우리나라의 대표적 발효식품 김치를 산업으로 육성해 김치 자급률을 높여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제주에서 소비되는 김치 재료를 제주산으로 전환하게 되면 로컬푸드운동의 확산 계기는 물론 양념에 사용되는 채소류의 안정적인 생산 여건 마련과 고용창출 효과까지 기대해볼 수 있어서다.

 제주도의회 농수축경제위원회(위원장 현길호)가 주최·주관한 '제주지역 김치푸드시스템 조사 및 자급률 제고 방안' 용역결과 보고회가 7일 도의회 회의실에서 열렸다.

 연구를 맡은 제주연구원 안경아 박사는 "2015년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후 국내산 가격의 20∼30% 수준에 불과한 중국산 김치 수입이 증가하며 김치원료가 되는 국산 농산물 가격의 폭락, 폭등의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며 "현재 16%로 추정되는 제주지역 김치 자급률이 35.2%로 높아지면 직접적인 생산유발효과는 276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114억에 달할 것"이라고 발혔다.

 안 박사의 발표에 따르면 수입김치의 국내 유통량을 감안한 배추 자급률은 2000년 101.3%에서 2019년 76.0%로 떨어졌다. 국민 1인당 연간 김치 소비량은 36.6㎏(11종류)으로 추정되고, 1일 다소비식품으로 1위인 멥쌀 다음으로 많다. 제주지역 김치 소비량(2018년 기준)은 연간 총 2만6528t으로 담금 59.2%, 구입 40.8%로 추정된다.

 도내 김치소비량의 75.3%를 차지하는 배추김치 1만9976t을 제주산으로 만들 경우 양념류 등 관련 농산물 소비량은 2만7459t, 재배면적은 604㏊로 추정된다. 2011~19년 월동채소 시장격리와 면적조절량이 연평균 633㏊에 이르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한 양이다.

 현안연구 과제를 제안했던 현길호 위원장(더불어민주당, 조천읍)도 "한국의 김치 수출물량은 코로나 직전인 2019년 기준 2만9628t인 반면 수입은 30만6049t으로 10배 이상 차이나 김치 종주국의 지위가 부끄러운 수준"이라며 "김치의 원료 조달부터 생산, 저장과 가공, 유통, 소비까지 지역 먹을거리 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품목을 확대해 나간다면 안전한 소비자 식탁과 안정적인 농작물 생산여건이 마련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제주지역 16개(해썹 인증기업은 10) 김치 제조업체의 연간 판매량은 2440t, 판매금액은 112억6300만원이다. 판매량의 70.1%가 도내, 나머지는 다른지역에서 판매된다. 특히 제주는 수입산 사용비율이 높은 외식업체가 많아 김치 자급률은 16.0%로 다른지역(43.5%)보다 현저히 낮다. 40%가 중국산, 43.5%는 타지역 공급량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