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고령 인구 수 증가와 더불어 치매 환자 수가 늘어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인프라는 부실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치매 환자와 가족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연구단체 우리제주복지연구회는 5일 서귀포시청 너른마당에서 '지역사회중심 치매대응 정책과 지원방안 마련' 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공선희 제주연구원 제주고령사회연구센터장이 발표한 '제주특별자치도 치매현황과 지역사회 중심의 대응정책 연구'에 따르면, 도내 인구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치매 인구 역시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제주지역 65세 이상 노인 인구 변화 추계를 보면 2017년 14.17%, 2019년 14.96%에 이어 지난해 15.74%, 올해 3월 기준 15.9%를 나타냈다. 2025년에는 전체 인구의 20%가 노인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또 지난해 도내 65세 이상 노인 인구 10만1813명 중 치매 환자 수는 1만1474명으로 치매환자 유병율은 11.27%을 나타냈다. 치매 유병률은 2015년 10.32%에서 2017년 10.75%, 2019년 11.21%, 지난해 11.27% 등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치매 증상이 심한 중증환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높았다. 치매환자 중증도 별로 보면, 경도 치매 41.4%에 이어 중등도 25.7%, 최경도 17.4%, 중증 15.5%로 나타났다. 기억력 등 인지 기능이 점진적으로 저하되면서 치매의 중간단계로 이행할 위험이 높은 '경도 인지장애' 유병률은 23.03%로, 전국 22.73%보다 높았다. 이같은 상황이지만 치매 환자와 가족을 위한 지원체계가 부실한 데다, 읍면지역의 경우 돌봄 인력 부족, 서비스 접근성 한계 등으로 사각지대에 노출돼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제주연구원이 지난 7~8월 치매노인 돌봄 가족 대상 심층 면담을 실시한 결과, 가족들은 ▷치매지원시스템 ▷장이요양서비스 ▷가족 돌봄으로 인한 정서적·경제적 부담 ▷서비스 접근성 등 지역사회 대응 관련 다양한 어려움을 호소했다. 우선 치매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진단 검사에 대한 강제성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치매의심 증상으로 지역에서 신고가 들어와도, 노인 당사자가 치매 진단을 거부하는 경우가 있어서다. 이에 치매의심 증상자에게 서비스를 접근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특히 '치매안심센터'에 대한 인지도가 낮을 뿐더러, 센터 이용자들은 센터가 제공하는 물품에 대해 유용성이 낮다는 의견을 보이고 있었다. 또 치매안심센터 인력의 36%가 기간제근로자인 데다, 인력 부족으로 서비스 질을 높이기 어려운 상황으로 인력 충원과 인건비 확대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읍면지역인 경우 요양보호사를 포함한 치매 전담 인력의 부족이 심각한 데다, 방문요양서비스의 경우 하루 3시간 한정으로 이뤄져 가족들이 물리적·정서적·경제적 어려움을 보이고 있었다. 공선희 센터장은 ▷치매 예방을 위해 조기 치매, 경증 인지장애에 대한 관심 촉구 ▷치매 조기 개입을 위한 시스템 구축, 노인맞춤돌봄·장기요양서비스 등을 효과적으로 연계 제공 ▷치매 관련 서비스 질 개선을 위해 재가돌봄 대폭 확대, 읍면지역 장기요양 인프라 지역 균등 설치. 치매 전문인력 확대 및 요양보호인력 처우 개선 등을 제안했다.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