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한라산 소주 생산 공장이 옹포리에 있는 이유가 궁금하여 다양한 자료와 인터뷰를 통해 알게 된 사실이 있다. 옹포리에서 솟아나는 물에는 각종 미네랄이 풍부하다는 사실이 검증되었다고 한다. 특히 바나듐 성분이 많다는 것은 인체의 신진대사에 꼭 필요한 희귀 미네랄 원소다. 그 기능은 당뇨 혈당을 낮추고 콜레스테롤 합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옹포리 물의 진가를 경제적 차원에서 가장 명확하게 실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옹포리 사람들이 보유한 소중한 자산이 옹기 모양을 닮은 마을 지형 속에 들어 있는 것이다. 수질의 측면 못지않은 것이 경관적 자원 가치다. 화산섬이라고 하는 제주의 특성 중 하나는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이라는 것이다. 그에 비하면 옹포리는 풍부한 수량을 가지고 있어서 다양한 활용 가치를 창출 할수 있는 여건이 된다. 그동안 차곡차곡 진행시켜온 옹포천 관광자원화 사업들이 결실을 거두기 위하여 더욱 발전해가는 과정이다. 역사적으로 옹포리는 물의 가치보다 포구로서의 가치가 높았다. 1271년 삼별초군이 명월포로 들어왔다는 기록은 현재 옹포리 포구를 의미 한다. 부근에 하나 뿐인 포구라는 뜻으로 옛 지명이 '독개'라고 불렸다. 그러한 환경적 요인에서일까 옛날에는 포구를 중심으로 어로활동과 해녀들의 물질을 생업으로 살아온 마을이라고 한다. 농사도 지었지만 암반이 많아서 소출을 내기가 힘든 여건. 팔순이 넘는 마을 어르신들의 회고담 속에 옹포리의 정신이 느껴진다. 이른바 금빌레 개척세대라고 해야 할 것이다. 조상들이 물려준 밭의 대부분은 빌레왓(암반이 많은 밭)이었다. 여기서 나오는 곡식을 가지고는 식솔들의 끼니를 항상 걱정해야 했던 현실 속에서 어느정도 나이가 들면 외지로 나가 일을 해야 했다. 특히 일제 강점기 일본으로 건너가 노동을 하며 돈을 벌던 분들의 애향심은 대단했다고 한다. 어렵게 번 돈을 고향으로 보내며 '우리처럼 고향을 떠나지 않고 후손들이 살 수 있도록 빌레왓 위에 흙을 사다가 복토해서 금빌레 옥토로 만들어 달라.' 다른 마을보다 좋은 밭을 가지고 말겠다는 마을공동체의 오기가 발동한 것이다. 그 금빌레 만들기 열풍이 오늘의 풍요로운 옹포리를 있게 한 것. 위대한 애향심이라고 해야할 것이다. 개척정신으로 모든 시련을 극복해내는 불굴의 공동체. 외지에 나가서 번 돈으로 흙을 사들인 옹포리의 역사는 강인한 제주인의 기질을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례라고 해야 할 것이다. 옹포리의 가장 대중적인 관광자원은 사계절 아름다운 석양을 감상할 수 있는 위치적 강점이다. 비양도가 있어서 더욱 운치가 있다. 이를 집중적으로 견인할 기반 시설이나 포토존 지역이 다양하게 만들어진다면 좋겠다는 아쉬움을 표현하는 분들이 많았다. 한편으로 너무 작위적인 요소들은 자연스러운 마을 분위기와 어울리지 않을 가능성도 크다고 주장하시는 분도 있고. 홍창부 이장에게 옹포리의 가장 큰 자긍심을 묻자 간명하게 대답했다. "개척정신" 불굴의 의지. 금빌레를 만들겠다고 마을공동체가 나섰던 그 마음가짐은 하루아침에 나온 것이 아니라 조상 대대로 내려온 어떤 유전적 기질이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앞으로도 마을에 숱한 난관들이 닥치더라도 옹포리 사람들이 보유한 끈기와 극복의지를 가지고 반드시 이겨내고야 말겠다는 결기. 옹포천의 풍부한 수량에 부러움을 느끼면서, 저러한 자원들이 부가가치 높은 마을공동체의 수입원이 될 수 있다면 스스로 복지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마을 발전을 위한 특화전략이라는 것이 하늘에서 뚝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있는 자원을 창의적으로 활용할 방법을 찾아 나서는 일이다. 옹포리가 보유한 것들은 대부분 숙원사업의 형태로 많은 시간을 고민하고 실천전략을 짜고 있었다. 행정적 지원이 획기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면 그 성과와 파급력은 지역경제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들이 수두룩한 마을. 마을공동체의 역량에 대하여 의구심이 든다면 '금빌레 개척의 역사'를 확인하라고 하고 싶다. 늘 후손들을 생각하며 오늘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마을이라 전하면서. <시각예술가> 방앗돌이 있는 휴게공간 <수채화 79㎝×35㎝> 점과 선, 면들이 눈부신 광선 속에서 어떻게 반응하며 다른 존재들에게 영향을 미치게 되는 지 그 회화적 궁금증을 그릴 수 있는 독특한 만남이었다. 서로 싸우는 것으로 보이나 실은 상보적인 아름다움이다. 공간감이라고 하는 것이 단순한 명암 원근법에 의해서 그려지는 것이 아니라 물상과 물상이 결부되는 과정에서 생성된다는 것을 확인하는 사례. 방사탑과 비양도 <수채화 79㎝×35㎝>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