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에서의 문화 자치 혹은 문화 거버넌스에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가. 막대한 자금력을 기반으로 하는 서울시처럼 문화 인프라가 다양한 환경에서는 선택지가 무궁무진할 수 있겠지만, 아직 도시화에 편입되지 못한 채 도심 공동화를 겪는 우리 동인 경우에는 사정이 많이 다르고, 우리가 가진 문화자원의 한계도 느끼고 있다. 지금의 마을 문화 생태계를 살펴보면, 중앙 하달식 행정 관습에다 '문화'라는 단어의 무게는 한류문화마냥 거추장스러워져, 개인이 갖고 있던 정체성, 각 마을이 갖고 있는 독창성과 고유성까지 일순간에 덮어버렸다. 문화 불모지에서 하나의 돌파구로 선택한 것은 마을을 하나의 캠퍼스로 보고, 각각의 마을 동아리를 찾아 나서는 일이다. 사람을 잇고, 관계를 잇고, 마음을 이어, 마을을 이어나가는 작업부터 시작한 셈이다. 이렇게 모아진 구성원들은 수평적 협치 관계를 기반으로 자율성과 민주성을 함께 부여하는 작업부터 시작했다. 그랬더니 오래된 골목, 일찍 어두워지는 조용한 동네에서 주민들의 마음을 모아 드럼 연주가 시작되고 마을이 활기를 되찾고 기쁨을 나누는 작은 기적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생활문화에서는 매머드급 기획으로 동네를 문화예술마을로 조성하거나, 전문가들만의 네트워킹으로 만들어진 위대한 기획물이 아니라 동네 주민을 위한 생활문화가 필요하고 주민마다의 문화향유를 높이기 위한 정책이 절실하다. 이것이 곧 '문화자치의 시작점'일 것이다. <고봉수 용담다목적생활문화센터장>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