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마을 밭 네마지기와 곽지리의 밭 한 마지기를 바꾸라면 그럴 생각이 없다며 거부했던 조상들. 지금 또한 그럴 것이다. 밭에서 나오는 소출량과 품질이 얼마나 좋았으면 다른 마을 밭의 네 배가 나온다는 것인가? 산업사회가 도래하기 전 농경을 기반으로 삶을 영위하던 시기에는 토질이 주는 혜택은 가장 강력한 경쟁력이었을 것이다. 밭 자체가 부촌의 기반이었던 마을. 지금도 사질토양의 장점을 살려서 양채류를 중심으로 부농공동체를 영위하고 있는 마을이다. 다른 마을에 비해 넉넉한 농업생산물이 지속적으로 생산됐다는 것은 글공부에 전념하는 선비들을 뒷바라지할 수 있었기에 선비마을의 명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고 한다. 조상 대대로 책 읽는 소리가 끊이지 않았다는 마을. 마을의 외형에는 변화가 왔을지 모르지만 유전자는 사라지지 않아서 지금도 현직에 있는 학교 선생님이 수십 명에 이른다. 이러한 정서를 보여주는 마을 상징이 문필봉이다. 붓이 서있는 형상을 한 기암괴석이 바닷가도 아니고 밭들 사이에 서 있다. 참된 선비가 많이 배출되는 것은 '문필봉의 정기가 도와서'라고 생각하며 살아온 자존심 강한 사람들의 땅. 곽지패총이라는 문화재는 중요한 학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바닷가 모래 해변에서 채취해 식생활을 하던 조개껍질들이 쌓이고 쌓여서 이뤄진 것. 지표상에 흩어진 유물 분포 범위가 1만평 이상이나 되는 대규모 유적지라고 할 수 있다. 초기 철기시대(BC 300~0)부터 조선시대까지 이르는 패총문화층을 보여주고 있다. 밑 부분 초기철기시대에 해당되는 곳에서는 구멍무늬 문화층이 확인됐고, 그 위층으로는 삼국시대 항아리형 적갈색토기 문화층, 다음으로는 통일신라시대 깊은 바리형토기 문화층과 연속해서 고려, 조선시대 각종 도자기와 질그릇 등이 포함된 문화층이 확인되고 있다. 곽지패총의 중심시기는 탐라시대(삼국, 통일신라)에 해당된다. 이러한 역사학자들의 연구 내용을 인용한 이유는 마을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이 최소 2300년이 된다는 사실을 일깨우기 위해서다. 역사교육 시설이 마련돼야 할 일이라 해야겠다. 이 섬에 살았던 사람들의 시기별 타임캡슐 곽지패총의 의미를 넘어서 지금 주민들의 족보와 같은 혈족적 자료와 다양한 근거들을 종합해 보면 900년 전부터 이 곳에 마을이 형성돼 있었던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탐라국 시기에서부터 농수축, 물산이 풍부했기에 자연스럽게 세력을 가진 지역으로 자리 잡고 있었음이 분명하다. 독자성을 가지고 교역강국을 구가하던 탐라의 기상 아래 함께 번성하던 곽지리의 모습을 과오름에 올라서 떠올려본다. 모래사장에 배를 대고서 물건들을 싣고 내리는 부산한 모습들이 상상된다. 시선을 돌려 밭들이 펼쳐진 농경지역을 바라보니 풍수지리에 밝은 곽지리 조상들의 설명에 공감이 간다. 곽지리의 형상은 선인기국형(仙人棋局形)ㅡ신선들이 앉아서 바둑을 두는 모습. 그렇다면 저 밭들이 바둑판이 되는 것이다. 바둑돌들은 더 큰 상상에 맡기도록 하고. 김홍대 이장에게 곽지리의 가장 큰 자긍심을 묻자 간명하게 한마디로 대답했다. "후대를 위하는 마음." 선배들이며 마을 어르신들이 젊은 날 우리를 위해 어떻게 행동했음을 너무도 잘 알고 있기에 자연스럽게 어떤 마음가짐으로 살아야 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는 것이다. 유구한 역사를 가진 마을이 지닌 정신문화라고 해야겠다. 지금 세대에 머무는 것이 아닌 존재로써의 마을공동체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곽지리다. 과오름은 봉우리가 셋이 모여 있는 형상이라서 삼형제다. 큰오름, 셋오름, 말젯오름. 얼마나 정겨운가. 형제들을 오름에 빗대어 끊임없는 이야기의 원천을 삼은 지혜가 그냥 이뤄졌을 리는 없고. 선비마을의 전통에서 우러난 인격도야의 진면목을 바라본다. 올라서 바라보는 풍광 또한 일품이다. 곽지해변의 아름다움과 함께 펼쳐지는 바다풍경과 삶의 공간들이 파노라마처럼 다가온다. 산을 보며 자란 사람은 심성이 깊고, 물을 보며 자란 사람은 그 마음이 넓다고 했던가? 곽지리 사람들은 그 둘을 모두 가졌다. 어질고 지혜로운 삶을 추구하는 마을공동체가 품격 있는 모습으로 과거와 현재 미래를 아우르며 품은 이상을 펼쳐보이고 있는 것이다. 발전의 방향을 길고 멀리 내다보며 지금 세상에 등장하지 않은 후손들과 끊임없이 대화하는 마을. <시각예술가> 어떤 나무와 집들의 만남 <수채화 79㎝×35㎝> 윤슬 눈부신 곽지해변 <수채화 79㎝×35㎝>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