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몇칠 전이었다. 병원으로 상담전화가 왔다. 10년이 갓 넘은 중성화되지 않은 남아 마당견이 2~3일전부터 피오줌을 눈다는 내용이었다. 그리고는 피오줌을 누면서 기운이 없고 식욕도 떨어지고 있다며 내게 무슨 병이냐고 다짜고짜 질문을 했다. 내가 20년차 임상수의사이지만 그 말만으로 무슨 병인지 알 턱이 없다. 물론 몇몇 가능성에 대해서 상상은 하지만 그게 사실이 되기에는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다. 필자는 당연히 빨리 병원에 내원해서 그 원인이 무엇인지 검사를 진행하고 치료를 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대답했다. 전화 너머의 그 강아지 보호자는 식구들과 논의를 해보고 병원으로 방문할거면 하겠다는 말을 끝으로 통화를 마무리 했다. 그리고 그의 방문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로부터 일주일 후 그 강아지가 무지개다리를 건넜다는 소식이 나에게 들려왔다. 이런 일들은 시골에 근무하는 수의사로서 심심치 않게 겪는 안타까운 그리고 무기력해지는 경우이다. 강아지가 아파서 병원에 왔을 때 수의사는 보호자로 하여금 최대한 많은 정보를 얻고자 한다. 이게 문진이며 적어도 이 단계에서 50% 이상의 진단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후 촉감으로 느끼는 촉진, 눈으로 보는 시진, 귀로 듣는 청진 등의 전통적인 진단의 방식으로 시작해 필요에 따라서 방사선, 초음파 등의 영상자료를 확보하고 혈액채취를 통해 더 많은 정보를 얻고 아픈 강아지의 원인을 찾는다. 그리고 그 원인을 해결하는 치료단계로 가는 것이다.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원인이 쉽사리 밝혀지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 동물들도 사람과 같이 질병의 종류가 너무 많은 까닭이다. 한사람의 수의사가 어찌 그 많은 질병의 종류와 증상 등을 다 알 수 있을까? 거기다 다양한 종의 강아지들이라면 그 경우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니 말이다. 하지만 이 경우는 우리 수의사들의 영역이다. 그럼 우리 반려인들은 우리 강아지들이 어딘가 아파하거나 불편할 때 어떻게 해야 할까? 어느 정도 아플 때 병원에 가야 하는 것일까? 사실 그 기준은 정해져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는 아주 급작스럽게 문제가 생기는 경우를 제외하고 필자는 하루정도 지켜보라고 권장한다. 그 지켜보는 동안에 보호자가 관찰할 수 있는 몇 가지를 확인하고 내원하기를 바라는데 이를테면 대변과 소변의 색과 모양 및 냄새, 숨쉬는 소리, 기침의 유무, 걸음걸이 등 보호자들이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외적인 것이다. 이러한 정보는 수의사가 진단을 효율적으로 내리는데 유용하게 쓰인다. 마지막으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보일 때는 가능한 빨리 진찰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이외에도 콧등이 말라있으면 체온이 올라가 있는 상태 또는 통증이나 심한 스트레스로 인한 것이므로 관심을 갖고 살펴서 사랑하는 나의 강아지가 건강을 되찾을 수 있도록 해야겠다. 그리고 병원에 가는 일을 두려워하지 말자. <강성진 가람동물병원장>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