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장오리오름의 '장'은 노루 장(獐)에 기원 [한라일보] '물장오리오름'에서 이제 오름은 이렇게 해결됐다. '물장오리오름'은 일단 '물장+오리+오름'이니 '물장+산+산'이다. 여기서 '물장'은 또 뭔가? 이 말은 다시 '물+장'으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물이란 이 산 화구가 물을 가득 담아 호수를 만들었으니 바로 이 '물'에서 왔을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그럼 장올악의 '장'은 무슨 뜻이기에 여기에 붙게 된 것일까? 이제 '장'을 해결하면 '물장오리오름'의 의미는 풀리게 되는 것이다. '장'이라는 말은 순우리말에서 찾아보기 힘들다. 원래 한자의 장(長)은 길 장, 어른 장이라고 한다. 대체로 '길다'는 의미로 쓰일 때가 많지만 맏아들이라고 할 때의 '맏', '우두머리'의 뜻으로도 흔히 쓰인다. 그중 물장올에 쓰인 장이라는 글자는 무얼 담으려고 했을까? 물장오리오름 정상부 물이 가득 들어찬 화구호 지명에도 이와 같은 사례를 볼 수 있다. 함경남도 장진군은 고려 말에 '하가루'라 했다. 여가서 '하'는 고어로 크다는 뜻이고, '가루'는 강 또는 나루라는 뜻이다. 이러던 것이 1667년에 한자로 표기하면서 큰 강과 큰 늪이 많은 지리적 특성에 따라 긴 나루라는 뜻으로 장진이라 하였다고 한다. 여기에 '긴 나루'라는 말은 후에 한자 '장'의 의미를 살려 이렇게 붙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설명을 보면 '하가루'는 '한 가람'의 뜻으로 쓰였을 것이다. 이것을 한자화 하면서 장진으로 했다는 것이다. 황해남도 장연군은 용정소, 모정소, 검우소 같은 이름난 큰 소들이 길게 놓여 있는 고장이므로 고구려 때부터 장연군으로 불렀다. 일명 장담이라고도 불렀다. 역시 '큰 소' 즉 고어로 '한 소'의 '한'을 '장'으로 표기한 것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한'의 의역 자로 쓰인 '장'으로 표기된 지명이 적지 않게 반영되어 있다. 김일성종합대학 김영황에 따르면 충청도 비인현의 남쪽 19리(권20)에 있는 '장배곶'은 '한배곶'의 표기이며, 전라도 정읍현 북천(권34)에 있는 '장교(長橋)'는 '한다리'를 표기한 것이다. 또한 장평산(長平山)은 갑산부의 동쪽 15리(권49, 갑산)에 있으며, 장평산고성(長坪山古城)은 갑산부의 동쪽 13리에 있는데 석축으로서 둘레는 2600척이며 높이는 9척이다. 여기에서 갑산의 장평산을 표기한 장평산(長平山)과 장평산(長坪山)은 같은 지명으로 '長平/長坪'은 '한 벌'의 표기라는 것이다. 장올악을 북한에선 큰 오름이란 뜻의 '하늘오름'으로 해석 장올악은 어떤가? 놀랍게도 북한 학자가 쓴 논문에 이에 대한 설명이 나온다. 이 ''장올악'은 '한/오롬>하늘오름'의 표기로 되는데, 한라산의 중턱에 있는 산을 '하늘오름'이라고 하는 이 이름은 지금도 쓰이고 있다'라고 한 것이다. 한라산 백록담(산악인 김경미 제공). 이와 같은 설명들을 종합해 보면 오늘날 물장오리라는 오름 이름은 첫 기록이 지금부터 거의 500년 전에 발간한 1530년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나오는 한자표기 '장올악(長兀岳)'이다. 위의 북한 학자는 이것은 '크다' 또는 '하늘'이라는 뜻의 '장'과 '산'의 뜻인 '올', 그리고 또 '산'의 뜻인 '악'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형태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장올악'은 원래 '한올'이었단 말인가? 장올악의 장은 長(장), (장), 藏(장)으로 다양하게 나타나 김찬수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장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