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해변조간대가 원형 그대로 보전된 아름다운 마을이다. 해안도로를 따라 쉬엄 쉬엄 걸어서 가다보면 아직도 옛 제주의 바닷가 풍경을 그대로 간직한 곳임을 느낄 수 있다. 바닷가 관곶에서 전남 땅끝마을까지 가장 가깝다는 마을. 설문대할망이 육지까지 다리를 놓으려다가 정성이 모자라 그만뒀다는 전설이 내려오는 엉장매는 그러한 최소 거리에 대한 인식이 기반이 되었을 것이다. 한반도와 가장 가까운 마을이라는 뜻으로 읽히기도 한다. 놀라운 해안선을 보유한 독특한 마을. 옛 이름이 지닌 공통점이 있다. 포구가 들어간다는 것이다. 1915년부터 신흥리라고 부르기 전까지 왜포(倭浦) 내포(內浦) 고포(古浦)라고 불러왔었다. 옛 지명이 뜻하는바 그대로 항아리 단면처럼 바다가 육지로 모래사장과 돌들로 이뤄져서 둥글게 들어와 있다. 바닷게가 집게발을 벌려서 뭔가를 집으려는 동작과 닮았다. 동쪽과 서쪽에서 바다로 뻗어나간 지형은 자연스럽게 방파제의 기능을 해주고 있으니 천혜의 포구였음이 분명하다. 마을의 가장 큰 외형적 특징을 보여주는 '큰개' '복작개'를 중심으로 번창해온 마을이다. 마을 어르신들의 말씀에 의하며 조천과 경계를 이루는 엄장매 부근에서 엄씨, 장씨 등이 거주를 시작하여 살다가 지금의 큰물이라고 하는 용천수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이씨, 김씨, 임씨, 손씨 등이 들어와 살면서 규모 있는 마을로 성장하게 되었다고 한다. 조천과 함덕이라는 큰 마을 사이에 있으면서도 당당하게 그 위상을 견고하게 유지하는 이유를 조상 대대로 '사람농사'라고 하는 인재 키우기에 열정을 쏟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런 마을 분위기를 상징화화여 하나의 당연한 문화로 정착시키고자 했던 지혜가 마을 위에 있는 지명 북구룡에 대한 스토리가 아닐까. 그 정기를 받아서 인물이 많이 배출된다는 이야기를 믿고 거기에 인간의 노력을 더하는 삶. 필자가 아는 한, 섬 제주에서 가장 원형이 잘 보전된 연대를 보유한 마을이다. 왜포연대다. 둥글게 돌을 쌓아서 해안가 조금 높은 언덕 위에 설치된 모습. 그 아름다운 비례가 마치 조형물을 보는 듯 하다. 알려지지 않아서 이렇게 보존이 잘 된 것이라고 생각하기에는 너무도 안타깝다. 지금이라도 불을 피워서 제주가 당면한 여러 가지 위기 상황을 알리고 싶은 욕구가 일어난다. 평화의 섬 제주에 어떤 적신호가 켜지면 그에 대응하는 상징적 의미로 연대에 불을 올리거나, 한 해의 소망을 비는 정월대보름 같은 날에 염원의 의미로 작은 불을 피워 올려도 좋을 그런 소박한 연대다. 문화재적 관점에서 오직 형태 유지에 연연하기에는 너무도 그 살아 생동하는 존재감이 서글퍼 하는 모양이다. 전망공간으로써의 역할도 놀랍도록 아름다운 풍광을 보여준다. 멀리 한라산에서부터 사방을 훑어보는 시각적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는 곳이다. 이런 경관감상 시설을 마을 발전을 위하여 관광자원화 시킬 수 있는 해법을 찾을 필요성이 있음에도 진입로 문제 등으로 방치에 가까운 현실이 서글픈 것이다. 엉장매에 얽힌 스토리 텔링 자원과 관곶, 왜포연대를 하나의 묶음으로 이어주는 소중한 자원임에도 그냥 외부에 있는 스타일을 따라하는 모방과 답습의 행정논리에 얽매여 있는 것은 아닐까. 진취적인 지원정책이 절실한 현실이다. 손유철 이장에게 마을공동체가 보유한 가장 강력한 자긍심이 무엇인지 묻자 한 단어로 자신감 있게 대답했다. "가능성!" 큰 마을 사이에 끼어 있으면서도 불굴의 의지로 오늘의 발전을 이룩해온 선조들의 공동체적 마인드로 긍정적 미래를 향한 가능성을 찾아 집중적으로 밀고 나가는 정신이라고 했다. 주어진 현실이 어떤 경우에든 넉넉함이란 찾아볼 수 없었던 상황이었음에도 뚫고 나갈 가능성을 먼저 찾고자 했던 좌절금지구역이라는 것이다. 놀라운 긍정의 힘이 견고한 문화로 자리 잡고 있기에 작지만 강한 마을로 성장할 수 있었으리라. 번잡함이 느껴지지 않는 포근한 분위기의 마을에서 고즈넉하고 아담하며, 어떤 정겨운 공기를 숨 쉴 수 있을 것 같은 제주의 진면목을 여기에서 발견한다. 미래는 우리의 가능성 속에 있다고 강조하는 이장님의 눈빛에서 이 마을공동체의 결기와 의지를 느끼게 되는 것은 참으로 아름다운 경험이다. 작다는 것은 상대적일 뿐, 절대값은 아니라는 의식의 근원이 더욱 궁금해지는 마을이다. 그 해답이 희망이기에. <시각예술가> 오르막길 밭담풍경 <연필소묘 79㎝×35㎝> 돌, 모래, 파도의 으뜸화음 <수채화 79㎝×35㎝>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