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속칭 엄쟁이라고 불러온 마을이다. 옛 문헌에 엄장포(嚴莊浦)라고 기록된 것으로 보아 지역의 명칭을 따서 표기 했거나 그 반대로 포구의 이름에서 유래 됐을 수 있다. 구전에 의하면 삼별초가 항파두리에 웅거 할 당시에 토성 축조에 마을사람들이 끌려가 강제노역 당했다고 하고 있으니, 설촌은 이미 13세기 말 이전이라는 것이다. 그러한 외부적 비교에 의하지 아니하고서도 독특한 마을의 유래를 보유하고 있다. 설촌의 주체가 분명하게 전해져 내려오는 마을이 과연 몇이나 있을까? 설촌의 주인공은 여성이다. 마을 어르신들의 말씀을 종합해보면 이렇다. 송씨 할망이 맨 처음 이 땅에 들어와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형성됐기 때문에 그 할망의 고마움을 신당에 모셔서 마을 당제를 지낸다는 것이다. '송씨부인 일뤠한 집'이 그 곳이다. 마을공동체의 개척작을 대대손손 신당에 모셔서 그 고마움에 보답하려는 심성을 지녀온 마을. 유교 가부장적 사회구조 속에서 이어져 내려온 전통이니 놀라울 따름이다. 단순하게 무속 신앙으로 접근 할 수 없는 어떤 마을 일체감의 표상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제주여성의 주도적 삶을 이야기하는 신화적 존재를 만날 수 있다. 그 송씨부인에 대한 얼마나 많은 이야기들을 할머니 할아버지 들은 손자들에게 들려주며 살아왔을까 생각하니 송씨부인 일뤠한집 앞에서 흐뭇한 마음이 감돌았다. 뿌리를 소중하게 생각하는 미덕이려니. 웃동네, 알동네, 모감동, 대흥동으로 구성된 마을이다.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오이농사로 유명하다. 너른 경작지 그 비옥함을 기반으로 야채류 밭농사에서 전국적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대대로 포구에 도댓불을 밝히며 어로활동을 통해 생업을 이어온 반농반어촌의 전통을 가지고 있다. 가장 중요한 자원 중에 하나는 해안 절경이다. 제주섬 생성기에 용암이 바닷가까지 흘러와 파도와 만나면서 이처럼 멋있는 예술품을 만들 수 있다는 솜씨를 보여주는 듯하다. 숱한 세월동안 침식을 거듭해 오늘날과 같은 모습은 화산활동의 원자재를 제공하고 파도가 정이 돼 다듬어낸 조각품이라고 해야 한다. 해안도로를 걸어가면서 느끼는 어떤 시간성에 경이로움을 느끼게 된다. 해안구조는 포구를 중심으로 서쪽은 암반지대이고 동쪽은 원담을 지닌 호형구도를 지녔다. 이 곳 1.5㎞ 바닷가는 조상 대대로 어부와 해녀들의 생존 공간이었다. 여기에 독특한 해양문화가 자리 잡고 있어서 경이로움을 더해준다. '돌빌레염전'이다. 두꺼운 용암이 바닷가와 만나면서 수면 보다 위에서 평평하게 식은 바닥공간이 생성됐다. 파도가 올라오지 못하기 때문에 그 위에 바닷물을 길어 올려서 소금을 생산하던 곳이다. 마을 어르신들이 전해주는 소금 생산 방법의 노하우는 이렇다. 먼저 염도 20% 정도의 '간물'을 만들고 30일 정도의 증발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 과정에서 노동집약형 경험으로 바닷가 현무암 위에서 만든 소금. 일반 소금보다 맛과 영양이 뛰어나다는 이 귀한 소금을 전승 발전 시켜야하는 과제를 안고 있음에도 국가행정의 무관심과 무지로 안타까운 현실을 지니고 있다. 세계적인 문화유산이라고 해야 할 독창적인 해양문화에 대한 이해부족이 원인이다. 조상 대대로 바닷가 검은 현무암 위에서 소금을 만들 수 있었던 전통적 기술력이 멸실 위기에 있음에 통탄을 금할 수 없다. 마을 주민들의 공통적인 기대감은 해안도로에 대한 부가가치를 높이는 일이다. 마을 해변이 주는 청량감과 경관 덕에 최근 몇 해 사이에 관광객들을 상대로 하는 업소가 많이 늘어난 것도 경쟁력이 충분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농업 소득과 어업 소득만 가지고는 마을 주민들의 경제적 욕구를 충족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것이다. 더 나은 삶을 추구하며 살아온 의욕적인 주민의식으로 현실 안주는 결코 용납할 수 없다는 의지로 읽힌다. 지금까지 마을공동체가 추진해온 사업과 앞으로 펼쳐나갈 모든 사업들이 성과를 내서 주민복지 향상에 기여할 수준이 되기 위해서는 해안도로를 찾는 관광객이 지금의 몇 배는 돼야 한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 많았다. 그러기 위해서는 파격적인 발상의 전환이 있어야 하겠고. 다른 해안도로 자원과는 색다르고 차별화된 진정한 의미의 느림의 미학을 구현할 수 있는 친환경적 해안도로를 꿈꾸고 있는 것이다. <시각예술가> 지붕과 돌담 밭 풍경 <연필소묘 79㎝×35㎝> 돌염전 풍경 <수채화 79㎝×35㎝>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