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종실록에 제주 ‘승첩’ 기록 있지만 현대적 조명 작업 미미 80년대 논문에도 "을묘왜변과 제주 학문의 사각지대" 지적 최근 논문 발표 잇따라 눈길… “최종 결과 제주대첩 주목을” [한라일보]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인터넷판에서 '을묘왜변(乙卯倭變)'을 검색하면 이런 '정의'가 뜬다. '1555년(명종 10) 왜구가 전라남도 강진·진도 일대에 침입해 약탈과 노략질한 사건.' 이칭은 '달량왜변'으로 소개됐다. 거기엔 '제주'가 없다. 뒤이은 '역사적 배경'을 읽어 내려가도 마찬가지다. 조선왕조실록에 1555년 을묘년에 전라도 일대에서 퇴각하던 왜구가 제주 앞바다로 집결해 전투가 벌어진 사실이 기록되어 있는데도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라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속 '을묘왜변'에는 제주가 빠져 있다. 그래서 묻는다. '을묘왜변 제주대첩'은 왜 잊힌 역사가 되었나. ▶"적은 숫자로 많은 수를 공격해 큰 승첩 거둬"=명종실록 명종 10년 7월 6일 기사는 "제주목사 김수문(金秀文)이 장계(狀啓)하였다"로 시작된다. 2000년 12월에 제주시 원도심 시가지가 내려다보이는 오현교에 세워진 '을묘왜변 전적지' 표석. 당시 제주시와 한라일보사유적지표석세우기추진위원회 명의로 설치했다. 이상국기자 이튿날 명종실록 기사에는 제주목사 김수문에게 하서했다는 내용이 나온다. "왜적이 변경을 침범하였다는 소식을 들은 이후로, 멀리 떨어진 외로운 섬에 병력이 미약하고 원병(援兵)도 때맞추어 이르지 못하므로 어떻게 방어해야 할지를 알 수 없는 상황이라 심히 염려하여 잠자리조차 편치 못한 지가 여러 날 되었다"며 "평소 경의 충의(忠義)와 목숨을 나라에 바쳐 북채를 쥐고 죽으려는 정신이 아니었다면 적은 숫자로 많은 수를 공격하여 이와 같은 큰 승첩을 거둘 수 있었겠는가"라고 치하했다는 것이다. 제주대첩은 일제 강점기를 거쳐 해방 이후까지 여러 기록에 등장한다. 1601년 7월 발생한 길운절 등의 모반 사건에 대한 진상을 조사하기 위해 제주를 찾았던 김상헌의 '남사록', 1653년 이원진의 '탐라지', 1704년 이형상의 '남환박물', 1765년 윤시동의 '증보탐라지' 등으로 주로 김수문 목사의 활약에 초점을 맞춰 을묘년의 사건을 적었다. ▶정부군 도움 없이 제주인 자력으로 일군 대첩 연구=제주사람들이 함께해 일당백으로 싸워 크게 이긴 을묘왜변 제주대첩은 아쉽게도 해가 지날수록 그 의미를 새기려는 움직임이 줄었다. 그 후로 이어진 수난과 침탈의 역사가 주는 무게 때문인지 제주 섬의 승전사는 도심에 놓인 푯돌 등으로 간신히 기억됐다. 김병하는 '을묘왜변고'('탐라문화', 1989)를 통해 "이 왜변은 왜구의 성격 변화 과정에서 나타난 선전포고 없는 전쟁이었다. 즉 종래의 소규모 왜구와는 규모와 전쟁의 양상이 달랐을 뿐만 아니라 대일무역의 전개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면서 "그런데 이 분야는 아직까지 체계적으로 연구된 업적이 거의 없는 것 같다. 을묘왜변은 5월의 달량왜변과 제주왜변으로 양분되는데 특히 후자의 연구는 학문의 사각지대로 남아 있다"고 당시 학계의 현실을 지적했다. 2000년대 이후 을묘왜변을 다룬 학술 논문 중 하나는 윤성익의 ''후기왜구'로서의 을묘왜변'('한일관계사연구', 2006)이다. 윤성익은 이 글에서 "을묘왜변이 일어난 16세기 중반 동아시아 해역에서는 다수의 중국인과 일본인 등이 연계된 후기왜구가 활동하고 있었다"고 했다. 윤성익은 제주도와 제주연구원이 펴낸 '을묘왜변과 제주대첩'(2022)에서도 '동아시아 국제질서 속에서의 왜구' 집필을 맡아 조선전기의 왜구·왜변과 그 대응책 등을 담았다. 지난해에는 한라일보에 게재된 전문가 연재 '제주 유일의 승전 역사 을묘왜변 현장을 가다'에 이어 제주연구원 학술세미나가 개최되면서 제주대첩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이 시기에 학술 논문 발표도 잇따랐다. 명종실록에 기록된 16세기 을묘왜변 제주대첩의 기록 중 일부. 조선왕조실록 인터넷판. 가장 최근의 연구 논문은 홍기표의 '을묘왜변 제주 대첩의 재조명과 역사적 의의'('제주도연구', 2023)로 제주대첩 관련 옛 사료를 일일이 확인하며 "왜구와 제주 민군 사이 제주성을 사이에 둔 대규모 공방전에서 대첩을 거둔 사실" 등에 중점을 두고 재조명했다. 홍기표는 특히 "을묘왜변은 전라도 남해안 일대의 노략질 사건으로만 해설되어서는 안 된다"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개정 증보 과정에 "제주성 전투와 제주 대첩이라는 최종 결과가 해설에 반드시 추가되어야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기사는 제주연구원·제주도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