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옛 명칭은 옷귀. 남원읍의 중심부에 위치한 마을이다. 동쪽으로 신흥2리, 서쪽은 한남리, 남쪽은 남원리와 태흥리, 북쪽으로는 수망리와 인접하고 있다. 그래서일까. 일제강점기 서중면 시절에는 오일장이 열리던 면소재지였다. 풍수지리에서 일컬어지는 양택지와 음택지 구분으로 보면 제주의 6대 양택지 중에 둘을 차지하고 있는 마을이 의귀리라고 한다. 그만큼 지세가 신묘하고, 좋은 정기가 흐르고 있어서 옛 선인들이 탐낼 만한 땅이었다는 것이다. 4·3 당시에 여느 중산간 마을들처럼 토벌대에 의하여 마을 대부분이 불에 타버렸던 아픈 역사를 가진 마을이다. 의귀초등학교에 중대병력 정도의 군인들이 주둔하여 전초기지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주민 250명이 희생되는 아픔을 간직하고 살아왔다. 학살당한 분들은 현재 현의합장묘에 안장되어 있다. 불타버린 마을에 대한 재건이 1949년부터 시작되었지만 동산가름과 웃물통, 장구못마을은 끝내 복구되지 못하였다. 마을이 번창을 거듭하여 그 지역에까지 주거공간이 마련되어질 날을 고대하게 되는 것은 필자의 소망뿐이랴. 의귀리 마을 명칭의 연원을 제공하는 김만일 가문의 역사를 알아야 뜻을 이해할 수 있다. 임진왜란을 전후하여 1300필 넘는 군마를 헌납하여 그 공으로 인조6년(1628년) 종1품 숭정대부에 제수되어 헌마공신으로 길이 칭송되고 있는 김만일. 마을 이름 의귀(依貴)는 '임금이 하사한 귀한 옷이 당도한 곳'이라는 뜻에서 유래하였다니 김만일가문의 우국충정을 다소 문학적 기법으로 표현한 것이라 해야 할 것이다. 마을의 우월적 자긍심의 표현이기도 했으리니. 가장 중요한 관심은 과연 무엇이 김만일 가문으로 하여금 '말 키우기에 가장 적합한 장소로 의귀리를 택하였는가?' 하는 대목이다. 조선 왕조가 제주의 일개 가문에게 세습권한까지 주면서 아쉬워했던 명마생산 노하우. 그 비결의 터전. 흙붉은오름에서 발원하여 태흥리 바닷가까지 이어지는 12.1㎞ 서중천을 따라가며 펼쳐진 목초지에 사람보다 말이 더 많이 살았던 시절이 있었다. 명마를 키워낼 수 있었던 자연환경적 요인과 이를 용도에 맞게 조련하고, 순치시키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말이 병이 들거나 다치면 어떻게 치료해야 하는 것인지 정확한 진단과 처방을 내릴 수 있는 축적된 지식이 없었다면 무려 218년동안 산마감목관을 김만일가문이 세습하여 이어갈 수 있었겠는가. 문치주의 사대부 국가 조선왕조가 변방의 섬 제주의 목축업자에게 종1품 벼슬을 줘야 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공맹의 도리나 뇌까리며 따지던 자들이, 그저 글자 다루는 재주로 벼슬을 얻던 시대에 후손들까지 공신가문의 역할을 인정한 이유는 딱 하나다. 말 키우는 능력. 김만일 가문이 보유한 노하우는 조선이라는 국가가 절실하게 필요하였기에 '딜'할 가치가 있었기 때문이었다는 것이다. 조선팔도에서 김만일가문이 키우는 훌륭한 말들을 사기 위해 육지 상인들이 의귀리에 들어와 며칠을 숙식하며 거래를 했다고 한다. 자연스럽게 경제가 살아나 마을이 번창하고 상대적인 풍요를 누렸다는 이야기. 양인호 이장이 밝히는 의귀리의 미래는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에 있다고 강조한다. 마을이 보유하고 있는 자연 환경적 장점과 강점들 중에서 무엇이 김만일 가문의 보유하였던 독보적인 가치처럼 세상이 아쉬워서 찾아오게 할 수 있는 것인가. 그러한 가치가 많은 곳임에도 행정논리에 입각하여 선례를 따지기에 급급하여 모방과 답습을 강요당하고 있지는 않은 지 안타깝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졌다. <시각예술가> 길보다 낮은 집 풍경 <수채화 79㎝×35㎝> 창세미소 배고픈 다리 <수채화 79㎝×35㎝>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